제도동향
디지털 해외정책 트렌드(2024-3호) 미국, 국립인공지능연구소 확대를 통한 AI 리더십 강화
- 등록일2024-04-25
- 조회수1738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3-20
-
출처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국립인공지능연구소#AI연구소#미국#해외정책
디지털 해외정책 트렌드(2024-3호) 미국, 국립인공지능연구소 확대를 통한 AI 리더십 강화
◈본문
✔︎‘국립인공지능연구소’ 확대 추진
○(개요) ’23.5월 ‘국립인공지능연구소(National AI Research Institute)’(이하, ‘국립AI연구소’) 7개 추가 신설과 함께 1.4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발표. 또한, ’23.8월부터 4차 공고를 추진 중이며, ’24~’25년에 걸쳐 5개 연구소 추가 신설과 1억 달러 추가 투자 전망
○(설립 현황) ’20년에 7개, ’21년에 11개, ’23년 7개 지정하면서, 총 25개 설립
○(추진체계) 프로그램 공고 및 선정평가를 주도하는 국립과학재단(NSF) 외, 연방기관 파트너 및 민간기업이 참여하여 자금 지원
✔︎「국가 인공지능 이니셔티브법(’21.1)」에 따라 ‘국립인공지능연구소’ 설립
○(추진 배경) 「국가 인공지능 이니셔티브법(National AI Initiative Act)(이하, ‘이니셔티브법’)」에서 ‘국립AI연구소’ 설립 및 지원에 관한 사항을 명시했으며, 이를 근거로 미국 전역에 신설
✔︎국립인공지능연구소 프로그램의 개요
○(개요) 국립AI연구소는 산·학·연·관 협력의 허브이며, AI 연구 혁신 및 가속화, 차세대 인력 양성을 통해 미국의 AI 글로벌 리더십 유지 및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NSF의 플래그십 프로그램
○(비전 및 임무) 광범위한 경제,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변혁적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더 넓은 전국적 네트워크 구축 추구. 또한, 통상보다 더 크고 장기적인 규모로 지원하여 다학제·분야 연구의 발전을 중점으로 두고, 주요 응용분야의 연구를 기반으로 혁신 가속화 및 현장에 기여
○(주제) 각 프로그램 공고 회차별로 연구소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우선순위 주제 제시
○(심사 기준) 국립과학재단(NSF)의 장점 검토(Merit Review)를 거치며, 기존의 기준*과 더불어 추가 기준에 따라 심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