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이슈 브리핑] 미국 생물보안법안이 중국 기업의 신뢰도에 미친 영향

  • 등록일2024-07-17
  • 조회수1405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이슈 브리핑] 미국 생물보안법안이 중국 기업의 신뢰도에 미친 영향


◈본문


□ 7월 2일, 글로벌 전략컨설팅기업인 L.E.K. Consulting이 2024년 6월 바이오제약기업, CRO/CDMO, 투자자 등 73개 생명과학 관련기업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를 발표함.


- 이는 생물보안법안이 발의되기 전과 후에 중국 파트너사에 대한 신뢰도를 0(매우 낮음)에서 10(매우 높음) 구간으로 응답자들이 평가한 결과임.




□ 응답 분석 결과, 글로벌 생명과학기업들의 중국 기업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하락하였고 사전예방적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으나,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중국 기업과의 협력을 원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 미국에 본사를 둔 기업들의 경우 중국 기업과의 협력에 대한 신뢰도가 30%~50% 하락했으며, CDMO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었음.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도 우려하고 있지만 그 정도는 덜했음.


생물보안법 발의 전후 중국 기업에 대한 신뢰도 변화,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기업들의 중국 기업에 대한 신뢰도 변화


- 생명과학기업의 26%는 현재 중국 공급업체에서 탈피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2%만이 실질적인 변경 조치를 취하고 있었음. 다소 놀랍게도, 생명과학 기업의 11%는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이 법 통과에 대한 아직 불확실한 성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임.


- 그렇긴 하지만, 기업들은 이미 몇 가지 예방 조치를 취하고 있었음. 생명과학 기업의 68%는 법률 및 규정 준수 요구 사항을 강화하고, 공급업체를 다각화할 계획이며, 기존 파트너에 대한 배경 조사(신원 조회)를 추가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었음. 


- 중국 시장은 여전히 매력적이며, 대부분의 바이오 제약사들은 상용화를 고려하고 있었음. 임상 연구, 개발 및 제조 분야에 있어 중국 서비스 제공업체와의 협력이 완전히 배제된 것은 아니며, 응답자의 약 30%는 향후 3년 이내에 이러한 파트너십을 맺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음.


<미국 생물보안법안이 미칠 영향에 대한 조사 주요 응답 결과>

미국 생물보안법안이 미칠 영향에 대한 조사 주요 응답 결과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