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KBCH브리핑] 최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동향과 공공기관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제안
- 등록일2024-08-28
- 조회수765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8-16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첨부파일
2024-12
(2024년 8월 16일)
www.biosafety.or.kr
최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동향과 공공기관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제안
2024년 유튜브 초강세 시대를 맞아 유튜브 중심의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현황을 알아보고, 공공기관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안. 유튜브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생성AI의 이슈, 가짜뉴스 및 알고리즘 이슈를 정리
작성자: 훈픽처스 김남훈 대표(한라대학교 미디어광고콘텐츠학과 겸임교수)
1. 2024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동향: 유튜브 중심의 소셜미디어 초강세
□ 2024년은 유튜브 초강세 시대
◦ 24년 1월부터 유튜브가 카카오톡의 월간 사용자수를 넘어 1위를기록함. 유튜브는 2024년 상반기(5월)까지도 가장 많은 사용자수를 기록하며 2위 카카오톡과 3위 네이버와의 격차를 벌렸음
- 한국인 1인당 유튜브 월평균 사용 40시간 돌파. 유튜브 월간사용시간은 카카오톡의 3배 이상
- 유튜브 앱이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1/3 차지
◦ 네이버의 경우 1인당 월간 평균 사용시간이 점차 줄어들고 있고, 우위를 보이던 검색, 숏폼, 쇼핑, 금융 부문마저 위기4). 특히 쇼핑 부문은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앱의 월간 평균사용시간이 지속적으로 우상향함에 따라 1위 자리를 위협받고 있음
<출처: 유튜브, 상반기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앱 1위 기사>
◦ 유튜브, 음악시장마저 잡았다
- 유튜브 한국 음원 플랫폼 시장, 지난해 12월부터 멜론을 꺾고 독주체제 구축. 유튜브 프리미엄에 가입시, 유튜브 뮤직을 무료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공정거래위원회는 유튜브 뮤직 무료 끼워팔기 의혹을 조사 중
◦ 한국, 유튜브 뉴스 소비율 세계 1위
- 한국에서 유튜브를 통한 뉴스 이용이 대세로 자리 잡고 있음. 한국 응답자의 53%는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언제 어디서든 유튜브 재생에 끊김이 없고, 데이터요금에 큰 부담이 없는 환경이 뒷받침된 결과. 한국이 스마트폰 보급률 1위 국가라는 점도 무시할 수 없는 배경. 반면 네이버의 뉴스 트래픽은 매년 급감
◦ 세계적으로 유튜브 등 다수의 소셜미디어 사용량 증대. 하지만 무분별한 알고리즘 등으로 미국, 프랑스 등 다양한 소셜미디어 규제법안을 검토 중
- 세계 인구 60% 이상이 SNS를 사용하고 세계적으로 평균 2시간 반 이용하고 있음. 한국인은 하루에 3시간씩 콘텐츠 소비하고 있으며 그 중 유튜브만 1시간 본다는 조사가 있음
- 미국 뉴욕시의 경우, 8세~12세 SNS사용 57%, 빈곤률 높을수록 사용률이 높다는 조사가 있음. 빈곤/극빈 지역의 10대와 부모의 소셜미디어 사용률은 97%에 달함
- 프랑스 정부가 3세 미만 유아의 영상 시청과 13세 미만 어린이의 스마트폰 사용 자체를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미국 뉴욕주는 소셜미디어가 알고리즘을 통해 미성년자에게 추천 게시물을 제안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킴. 18세 미만 청소년들의 SNS 중독을 막고, 폭력적·성적 콘텐츠에 노출되지 않도록 플랫폼의 책임을 확대하겠다는 의도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