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NRF R&D Brief 2024-31호] 과학기술 국제협력 수요발굴을 위한 조사분석

  • 등록일2024-09-03
  • 조회수794
  • 분류제도동향 > 기타 > 기타

 

 

과학기술 국제협력 수요발굴을 위한 조사분석

뉴질랜드 과학기술 체제와 현황

 

◈ 목차


⑴ 뉴질랜드 과학기술 거버넌스


⑵ 뉴질랜드 연구개발 활동 현황

 

 

◈본문


1. 뉴질랜드 과학기술 거버넌스


□ 뉴질랜드 개황

<표 1> 뉴질랜드 기본정보

뉴질랜드 기본정보

자료: KOTRA (https://www.kotra.or.kr)

※ 경제 지표는 2022년 기준이며, 동 보고서에서 화폐는 별도 표기하지 않은 한 뉴질랜드 달러(NZD)를 의미함


□ 대외 관계


ㅇ (경제 관계) 중국은 뉴질랜드의 전체 수출입 교역량의 약 25%를 차지하는 최대 교역국이나, 태평양 지역에서의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하는 입장


- 주요 수출국 : 중국(총 수출의 27%), 호주(13%), 미국(11%), 일본(6%), 한국(3%), 영국(2%)

- 주요 수입국 : 중국(총 수입의 22%), 호주(12%), 미국(9%), 일본(6%), 한국(5%), 독일(4%)

- AANZFTA : 아세안-호주-뉴질랜드 간 자유 무역 협정

- NZ-UK FTA : 뉴질랜드-영국 간 자유 무역 협정



ㅇ (안보 동맹)


- ANZUS : 호주-뉴질랜드-미국 간 군사동맹 체결(1951), 효력상실(1986) 이후 호주-뉴질랜드 간 군사동맹 체재로 전환

- Five Eyes : 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간 첩보 동맹


□ 주무 부처: 기업혁신고용부(MBIE: Ministry of Business, Innovation and Employment)


ㅇ 주요 기능


- 과학기술 주무 부처는 기업혁신고용부(MBIE)로서 국가의 과학기술 및 혁신 관련 포트폴리오를 맡고 있음

- 뉴질랜드 행정부는 의원내각제 형태로 여당 의원들이 장관직을 맡게 되며 장관은 복수의 책임 영역(Portfolio)3)의 수장으로서 업무를 수행함

- MBIE는 에너지, 관광, 건설, 이민, 과학기술 등 여러 분야의 포트폴리오에 관여하고 있으며, 장관과는 별도로 최고경영자(CEO, 사무차관)가 부처의 경영과 조직 관리를 책임짐

※ 대학의 연구활동 지원은 교육부를 통해 이루어짐

- 8명의 저명한 과학자들로 구성된 과학이사회(Science Board)를 두어 연구과제의 지원을 결정함

- 정부연구소(CRI: Crown Research Institutes) 등 관할기관을 관리함


[그림 1] MBIE 관련 포트폴리오를 맡은 장관 9인과 CEO (2024.3월 기준)

MBIE 관련 포트폴리오를 맡은 장관 9인과 CEO (2024.3월 기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