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리스크 기술로서 유전공학의 기본문제에 관한 최근 EU 논의
- 등록일2024-10-28
- 조회수666
- 분류제도동향 > 생명 > 생물공학
-
자료발간일
2024-10-15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사전배려원칙#바이오보안#이중사용딜레마#국제규제철학
리스크 기술로서 유전공학의 기본문제에 관한 최근 EU 논의
[KBCH브리핑]
◈본문
1. 검토배경
■이 글에서는 리스크 기술(Risikotechnologie)로서 유전공학의 기본문제에 관한 최근의 EU에서의 논의들을 소개하려고 한다.
■여기에서는 1) ‘사전배려원칙(Vorsorgeprinzip)’과 혁신(Innovation) 실현 간긴장 관계, 2) ‘바이오 보안(Biosecurity)’ 문제: 소위 ‘이중사용 딜레마(Dual-Use-Dilemma)’, 3) 유전공학의 국경을 초월한 영향으로 인한 문제, 4) ‘올바른’ 규제 철학의 문제: ‘제품 관련(produktbezogen)’ 또는 ‘프로세스 관련(verfahrensbezogen)’, 5) 유전공학의 사회 정치적 수용성의 문제를 주로 다룬다.1)
2. ‘사전배려원칙(Vorsorgeprinzip)’과 혁신(Innovation) 실현 간 긴장 관계
■첫째, 유전공학법에서 특히 중요한 법적 기본원칙은 한편으로는 ‘사전배려원칙(Vorsorgeprinzip)’2)과 다른 한편으로는 ‘혁신 노력 (Innovationsbestrebungen)’ 간의 균형을 찾는 것이다.
ㅇ 이러한 ‘사전배려원칙’은 「유럽연합 업무협약(EU-Arbeitsweisevertrag; AEUV)」 제191조 제2항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ㅇ EU법상 ‘사전배려원칙’은 새로운 기술의 위해성(Risk)를 판단할 때 특히 중요하다.
- 한편으로는 유전공학의 혁신을 촉진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민에 대한 높은 수준의 보호가 필요한 것이다.3)
ㅇ 이러한 기존의 긴장 관계, 즉 한편으로는 리스크에 대한 보호를 규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혁신의 촉진을 규정하는 것은 유전공학법의 근본적인 문제이다.■예를 들어 유전자변형 종자는 가뭄에 더 잘 견딜 수 있고, 회복력이 강하고 해충에 강한 식물은 식량 가격 상승과 기근에 대비해 의미 있고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4)
■또한,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EU법에 따른 ‘사전배려의 기본원칙’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5)
ㅇ 유전공학의 특수성으로 인해 유전공학의 장기적인 영향과 리스크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새로운 유전공학을 개발하고 적용할 때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6)
- 예를 들어 유전자변형생물체가 환경에 유입되어 통제할 수 없는 과정을 유발하고 환경을 영구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목표이다.7)
(1)이 글은 주로 Kloepfer/Doerenbach, Grundprobleme und Perspektiven des Gentechnikrechts, NuR (2021) 43: S. 813–814를 주로 참고하여 작성한 것이다.
(2)EU 환경법의 ‘사전배려원칙(Vorsorgegrundsatz)’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은 다음을 참조할 것: Ivo Appel, Europas Sorge um die Vorsorge - Zur Mitteilung der Europaischen Kommission uber die Anwendbarkeit des Vorsorgeprinzips, NVwZ 2001, S. 395; Birger, Das Vorsorgeprinzip im EU-Recht, 2009, S. 69; Callies in Calliess/Ruffert (Hrsg.), EUV/AEUV, 5. Aufl. 2016, Art. 191 Rn. 26 ff.; Kahl in Streinz (Hrsg.), EUV/AEUV, 2. Aufl. 2012, Art. 191 Rn. 76 ff.; Kuhn, ZEuS 2006, S. 487 ff.; Hans-Werner Rengeling, Bedeutung und Anwendbarkeit des Vorsorgeprinzips im europaischen Umweltrecht, DVBl 2000, S. 1473; Werner Schroeder, Die Sicherung eines hohen Schutzniveaus fur Gesundheits-, Umwelt- und Verbraucherschutz im europaischen Binnenmarkt, DVBl 2002, S. 213.
(3)Claudia Seitz, Modifiziert oder nicht? – Regulatorische Rechtsfragen zur Genoptimierung durch neue biotechnologische Verfahren, EuZW 2018, S. 757.
(4)Buhl, Auf dem Weg zur biomachtigen Gesellschaft? Chancen und Risiken der Gentechnik, 2009, S. 23.
(5)Claudia Seitz, Modifiziert oder nicht? – Regulatorische Rechtsfragen zur Genoptimierung durch neue biotechnologische Verfahren, EuZW 2018, S. 757.
(6)Kloepfer, Umweltrecht, 4. Aufl. 2016, S. 1764.
(7)Kloepfer/Durner, Umweltschutzrecht, 3. Aufl. 2020, § 17, Rn. 2.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