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나이지리아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관리 동향

  • 등록일2024-12-09
  • 조회수450
  • 분류제도동향 > 생명 > 생물공학

 

 

나이지리아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관리 동향

[KBCH브리핑] (2024-18)

 


◈본문


2024-18

(2024년 11월 26일)

www.biosafety.or.kr

나이지리아에서는 최근 GM작물 상업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하원이 GMO 도입에 대한 전면 조사를 결정하면서 국민들의 환영과 우려가 함께 나타나고 있음. TELA 옥수수 등 GM작물의 상업적 출시 과정에서 건강 및 환경 우려가 제기되었음. 이에 안전성을 둘러싼 정부와 이해관계자들의 주장을 종합 정리함. 

※ 주요 출처: GMO정보포털 뉴스, USDA FAS GAIN reports

작성자: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윤지현


1. 소개

□ 나이지리아의 농업 현황

ㅇ 나이지리아 인구 : 2억 3,267만 명 (’24 통계청, UN, 대만통계청), 아프리카 최대 인구 보유

ㅇ 농업 부문 : 전체 고용의 약 70%를 차지하며, GDP의 25% 이상 기여

ㅇ 식량 자급률 : 주요 곡물의 수입 의존도 40% 이상, 식량 안보 문제 심각 

그림 1. 나이지리아 위치

나이지리아 위치

□ 나이지리아에서 GMO(유전자변형생물체)가 중요한 이유 

ㅇ 식량 안보 문제 해결 : 나이지리아는 인구 증가와 기후 변화로 인한 농업 생산성 저하 문제에 직면해 있음 

- 낙후된 농기계, 자연적으로 내리는 비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농업 방식으로는 농업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존재 

- GMO 기술을 통해 해충, 가뭄, 질병에 강한 작물 개발 가능성

ㅇ 경제적 성장 기회 : 농업은 나이지리아 경제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생명공학 기술의 도입은 농업 부문에서 새로운 경제적 기회 창출 가능

- GMO 작물의 상업적 성공은 농민들의 소득 향상과 농업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

ㅇ 기후 변화 대응 : 가뭄 저항성 및 해충 저항성 작물 도입을 통해 농업 환경의 변동에 대한 적응력 강화


□ 기후 변화로 인한 식량 문제로 GMO 개발 필요성

ㅇ 기후 변화로 인해 가뭄, 홍수, 해충의 증가가 농업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ㅇ 나이지리아의 식량 자급률이 낮아 식량 수입 의존도가 높음, 이에 따라 식량 가격 변동성에 취약

ㅇ 유전자변형기술은 농업 문제 해결의 새로운 돌파구로 여겨지고 있음2. GMO 관련 법‧제도


□ 나이지리아의 GMO 관련 법률

ㅇ 2015년 4월, 바이오안전성 법안을 마련하고, 국가바이오안전성관리청(National Biosafety Management Agency, NBMA)이 GMO의 수입, 시험재배, 이동, 밀폐이용에 대한 모든 사항을 관장

- NBMA는 나이지리아 GM제품을 규제하는 책임을 가진 정부 기구로, 국가 농업 생명공학의 장려를 추구하고 있음1)


□ 2020년 12월 유전자가위기술 지침 승인 : 나이지리아는 유전자가위기술에대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한 아프리카 최초의 국가가 됨

ㅇ 유전자가위기술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침 제공

ㅇ 유전자가위기술 활용 과정에서 재조합 DNA를 사용하거나, 유전자가위기술 산물이 새로운 유전물질 조합을 포함하는 경우 GMO로 분류. 재조합 DNA를 사용하지 않거나, 최종제품에 재조합 DNA가 포함되지 않고 재조합 DNA를 일시적으로만 사용한 경우 사례별로 GMO 비규제2)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