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식품공전 미생물 시험법 해설서(민원인 안내서)
- 등록일2025-01-22
- 조회수501
- 분류제도동향 > 생명 > 생명과학
-
자료발간일
2024-12-30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식품공전#미생물#시험법
식품공전 미생물 시험법 해설서(민원인 안내서)
◈본문
1. 미생물시험법_공통사항
미생물학적 검사를 위해서는 반드시 모든 과정이 무균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동시에 과정 중의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실험실 내는 항상 청결을 유지하여야 한다. 시험 시 음성 대조군을 사용하여 시험조작의 무균여부를 확인한다.
1-1 자주 묻는 질문
4.1.2 확인시험 "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식중독균 증균 배양 후 PCR 등 분자생물학적 시험법 활용한 스크리닝 시험을 통하여 불검출로 판정할 수 있다. 다만, 유전자가 확인된 경우 분리배양 후 생화학적 검사 등을 통하여 해당 식중독균으로 동정되면 검출로 판정한다."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가 언제인가요?
긴급을 요하는 신속 검사나 위기대응 등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한해서 4.26. 식중독균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시험법을 활용한 스크리닝 시험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규정임을 알려드립니다.
미생물 정성시험에서 증균배양 과정에서 pooling을 하게 되면 그 이후에 진행되는 2차 증균배양 및 분리배양 접종 시 각각 1회(n=1)만 실험 진행해도 되는지, 아니면 pooling을 했어도 그 이후 실험은 5회(n=5)로 진행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4.3 시험용액의 제조 나.에 따라 미생물 정성시험에서 5개 시료를 검사하는 경우 5개 시료에 대하여 각각 검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시료에 직접 증균배지를 가해 배양하는 경우에 한하여 5개 시료에서 25g(mL)를 채취하여 섞어(pooling) 125g(mL)을 하나의 검체처럼 시험·검사를 진행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지방분이 많은 검체의 경우 Tween 80과 같은 세균에 독성이 없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는데, 어느 정도의 양을 첨가하여야 되는 건가요?
현재 식품공전에서는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이 고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ISO 6887-1: 2017」과 「ISO 6887-4: 2017」에서는 Tween 80을 1L당 1g ~ 10g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watch 피부 유익균을 활용한 바르는 미생물 백신 2025-02-04
- BioINpro [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바코드 미생물 2024-06-26
- BioINwatch 장내 미생물은 보호하면서도 병원성 세균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항생물질 발굴 2024-06-13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