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제3차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 관리 기본계획
- 등록일2025-03-05
- 조회수331
- 분류제도동향 > 그린바이오 > 식품기술
-
자료발간일
2025-02-18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식품#기본계획
제3차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 관리 기본계획
◈ 목차
PART Ⅰ 개요
PART Ⅱ 제1차 및 제2차 관리계획 평가
1. 제1차 및 제2차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 관리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실적 4
2. 제1차 및 제2차 관리계획 종합평가 21
PART Ⅲ 배경
1. 식품안전 산업동향 및 메가트렌드 27
2. 해외 정책환경 변화 30
PART Ⅳ 추진목표 및 전략
1. 기본방향 37
2. 전략체계 41
PART Ⅴ 세부 추진과제
1. 합리적 규제로 안전과 성장 견인 42
2.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선제적 대응체계 마련 50
3. 과학과 데이터 중심의 관리체계로 전환 56
4. 협력체계로 글로벌 리더쉽 강화 62
PART Ⅵ 기대효과
◈본문
Ⅰ 개 요
□ 계획 기간 : 2025~2029년(제3차 계획)
□ 수립 목적
○ 식품 등에 존재할 수 있는 유해오염물질, 잔류농약, 잔류동물용의약품, 식품첨가물, 미생물 등에 대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기준・규격 관리로 식품안전 및 국민안심 확보
□ 수립 근거 및 과정
○2014년 신설된 「식품위생법」 제7조의4에 의거,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 관리 기본계획(이하 관리계획)’을 5년 단위로 수립・추진
* 이를 바탕으로 매년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 관리 시행계획(이하 “시행계획”) 수립
○관계 중앙행정기관장과 협의, 식품위생심의위원회 심의로 확정
□ 주요 내용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 관리의 기본 목표 및 추진방향
○식품등의 유해물질 노출량 평가
○식품등의 유해물질의 총 노출량 적정관리 방안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의 재평가에 관한 사항
□ 기본계획의 성격 및 의의
○법 제7조 및 제9조에 따른 식품등의 기준・규격의 관리를 위한 5년 단위의 중장기 정책방향
○식품 등의 기준・규격의 관리를 위한 기본 목표와 추진방향을 제시
○식품안전의 사전 대응 및 안심 행정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식품안전관리 및 국민건강 보호 목표의 효과적 달성에 기여
기준・규격 법적 근거
□ 식품위생법 제7조1) 및 제9조2)에 따라 기준 및 규격 고시・운영
□ (식품) 공통기준・규격, 장기보존식품 기준・규격, 식품별 기준・규격, 접객업소 조리식품의 기준・규격, 검체채취 및 취급방법 등으로 구분하여 관리
∙ 공통기준・규격 : 안전한 식품이 제조될 수 있도록 식중독균, 중금속, 잔류농약, 방사능 등에 대한 규격과 식품원료, 제조・가공, 보존 및 유통 기준에 관한 사항
∙장기보존식품 기준・규격 : 제조・가공의 특성을 반영한 통・병조림식품, 레토르트식품, 냉동식품의 기준・규격
∙ 식품별 기준・규격 : 세부 식품유형별 정의, 원료등의 구비요건, 제조・가공기준, 규격 등
∙ 접객업소 조리식품의 기준 : 유통・판매 목적이 아닌 손님에게 직접 제공하는 음식의 조리 및 관리기준
∙ 검체채취 및 취급방법 : 기준・규격 적합 여부, 오염물질 등에 관한 안전성 검사를 위한 검체의 채취 및 취급방법
□ (식품첨가물) 개별 품목에 대한 성분규격 및 사용기준을 설정하여 관리
∙ 성분규격 : 식품첨가물의 안전한 품질 확보를 위해 식품첨가물의 원료, 제조과정 등에서 유래되는 불순물(중금속, 미생물, 용매 등) 농도 제한 및 순도가 일정 이상이 되도록 설정・관리
∙ 사용기준 : 식품첨가물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사용대상 식품, 사용량 및 사용목적 등에 관한 규정을 설정・관리
□ (기구 및 용기・포장) 재질별 제조 시 사용되는 주원료, 가공보조제 등의 원료와 제조공정 중 생성・혼입되는 불순물 등 물질을 대상으로 잔류・용출규격을 설정하여 관리
∙ 재질의 종류(54종) : 「합성수지제(폴리에틸렌, 멜라민 수지 등 44종)」, 「가공셀룰로스제」, 「고무제」, 「종이제 또는 가공지제」, 「금속제」, 「목재류」, 「유리제, 도자기제, 법랑 및 옹기류」, 「전분제」
□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14조3) 및 제15조4)에 따라 기준 및 규격 고시・운영
□ 공통기준・규격, 개별 기준 및 규격(1. 영양성분, 2. 기능성 원료) 등으로 구분하여 관리
○ 공통기준・규격 :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 공통제조기준, 기준 및 규격 적용, 적부 판정, 보존 및 유통기준, 검체의 채취 및 취급방법
∙ 영양성분 : 비타민류 14종, 무기질류 11종, 식이섬유, 지방, 단백질의 제조기준, 규격, 제품의 요건, 시험법
∙ 기능성 원료 : 인삼, 홍삼, 쏘팔메토 열매 추출물 등 기능성 원료 68종의 제조기준, 규격, 최종제품의 요건, 시험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Food tech, 식품 3D 프린팅 기술 2024-04-19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지속가능 세계를 위한 미래푸드 2023-11-30
- BioINwatch 기아 종식과 지속가능한 식품 시스템에 기여하는 블루 푸드(Blue Food)의 잠재력 2021-09-28
- BioINwatch 합성생물학으로 만든 바코드 미생물(Barcoded Microbes)을 활용한 식품의 이동경로 추적 2020-07-27
- BioINwatch 젊은 과학자들이 선택한 ‘미래의 식품(Foods of the future)’ 2020-03-16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