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노화와 암발생 상관관계 규명

  • 등록일2004-12-28
  • 조회수7410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05-03-01
  • 출처
    과학기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노화#암발생
  • 첨부파일

노화와 암발생 상관관계 규명

 

- 네이처 세포생물학지 1월호에 게재 -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암은 40대 이후에 발생하며, 나이가 들수록 발병률이 증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현재의 과학적 상식에 비추어 매우 역설적인 것이었다. 왜냐하면 암은 세포분열이 엄격히 제어되고 있는 정상세포가 통제를 벗어나 분열을 계속함으로써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학설과는 달리 유호진 교수 연구팀은 Bcl-2에 의한 세포분열 억제가 유전자 복구시스템을 붕괴시켜 암 발병이 촉진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는 세포분열 억제가 암 발병을 억제한다는 종래의 학설과는 달리 세포분열 억제로 암 발생이 오히려 촉진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한 것이다.

이번 연구성과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학부장 정진하 교수는 “분열이 정지된 노화세포에서 왜 암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는가의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노화와 암 발생의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고 의미를 부여하는 등 앞으로 유전자 복구 조절물질을 통하여 노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암 발생 억제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유호진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세포분열이 정지된 노화세포의 암 발생 과정을 근본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인 근거를 마련한 것으로 세포생물학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의 네이쳐 세포생물학지 1월호에 이달의 가장 중요한 논문으로 선정되어 발표될 예정이다.

 


※ 문의 :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유호진교수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