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16차 OECD 산업바이오기술 T/F회의 동향
- 등록일2008-11-26
- 조회수12855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08-11-26
-
출처
OECD생명공학작업반
-
원문링크
-
키워드
#OECD#산업바이오기술
- 첨부파일
출처 : OECD생명공학작업반
16차 OECD 산업바이오기술 T/F회의 동향
OECD생명공학작업반(Working Party on Biotechnology)은 1994년에 설립되어 보건 및 산업개발 관련 바이오 기술에 대한 다양한 정책을 OECD과학기술정책위원회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최신 바이오기술의 활용과 관련된 모범 운영지침 및 가이드라인 마련, 기후변화, 고령화, 전염병 등 글로벌 문제에 대한 바이오기술 정책 마련, 보건 및 산업적 바이오기술에 대한 혁신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생명공학작업반에서 만들어진 각종 보고서 및 지침들은 OECD회원국으로 확산되어 활용됩니다. 따라서 세계 선진국들은 OECD에서 마련되는 바이오 정책에 자국의 이해를 관철시키기 위해 생명공학작업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1996년도부터 참여하여 최신 바이오기술, 산업, 정책 정보 및 선진국에 대한 동향정보를 수집해 왔습니다.
ㅇ 일 시: 11월 17(월)~18(화)
ㅇ 장소: OECD 본부(파리)
ㅇ 회의명: 제 16차 산업생명공학특별작업반(TFIB, Task Force on Industrial Biotechnology) 회의
ㅇ 이전까지 부의장으로 활동했던 Mr. John Jaworski(캐나다)의 사임에 따라 Industry Canada의 Mr. Saeed Khan을 신규 부의장으로 선출함
ㅇ 2009년도 의장단 명단은 다음과 같음
- 의장 : Mikael Hirsch(호주)
- 부의장(5명) : Dirk Carrez(BIAC), Saeed Khan(캐나다), Kenji Kurata(일본), Marvin Duncan(미국), Monika Sormann(EC)
ㅇ TFIB는 산업생명공학분야에서 공급측면의 이슈에 관하여 2차례의 Policy Roundtable을 거쳐 다음의 4개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금번 회의에서 그 내용을 검토함
- R&D의 최근 현황 및 동향, 인적자원의 활용가능성, 자금의 공급, 산업생명공학 R&D의 글로벌화
ㅇ TFIB는 4개 분석보고서를 하나의 정책보고서로 발간(2009년 봄 예정)하기로 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담은 Policy Recommendations을 집중 검토하기로 함
- 회원국은 2008년 12월 14일까지 동 보고서에 대한 검토의견을 서면으로 사무국에 제출하기로 함
ㅇ 우리 나라는 동 보고서가 Biofuel 및 Biomass 분야에 대해 유럽권과 미국의 경우만을 분석하고 있으므로 최근 생명공학분야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 일본 등 아시아권 국가에 대한 분석이 추가되어야 함을 지적함
- 이에 한국 및 일본 대표는 자국의 산업생명공학 연구동향 및 환경에 대한 의견서 및 관련 통계를 사무국에 추가로 제출하기로 함
ㅇ 현재의 보고서(초안)에 대해 금번 TF에서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많은 부분의 변경이 불가피한 것으로 판단됨
- 각 회원국의 서면의견을 ‘08.12.14일까지 취합·반영하여 ‘09.1월에 최종보고서(안)을 회원국에 제공하고, 4월초에 확정하는 일정으로 진행 예정
ㅇ 바이오경제의 환경성 및 지속성 지표의 평가를 위해 회원국에서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사례조사의 일환으로 진행된 과제임
ㅇ 미국 농무부(USDA) 주관으로 개발된 “Metrics to Support Informed Decision Making for Consumers of Biobased Products"에 대한 사례조사 보고서를 상정하여 토의함
- 동 보고서는 미국정부가 산업계와 소비자들이 바이오기반 제품의 선택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기준으로서, WPB의 승인을 거쳐 독립보고서로 출판하기로 함
ㅇ 캐나다 대표가 제안한 “Best Practices in Assessing Sustainability of Bio-based Products and Processes"에 대해 토론하고 다음의 합의를 함
- 바이오기반 제품 및 공정의 환경적 지속성(Environmental Sustainability) 평가를 위한 OECD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OECD Council Recommendation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준비하기로 함
- TFIB는 World Congress on Industrial Biotechnology & Bio-processing (‘09.7.19~22일, 캐나다 몬트리올) 및 EuropaBio Congress on Industrial Biotechnology(’09.10월, 리스본)와 연계하여 두 차례의 워크숍을 개최하기로 함
- 동 과제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캐나다, 이태리, BIAC, 미국, 남아공 대표로 Steering Group을 구성함
4. OECD Outlook for Industrial Biotechnology in the Economy
ㅇ 오스트리아 대표가 제안한 표제 과제에 대한 워크숍(‘09.9월, 비엔나) 개최에 대하여 그 내용과 실행방안을 논의함
- 워크숍에서는 산업생명공학에서의 새로운 기술동향과 응용, 재원확보 및 Business Models, 생명공학을 활용하는 산업계의 구조와 속성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기로 함
- 워크숍의 효율적 준비를 위해 이태리, BIAC, 미국, 오스트리아 대표로 Steering Group을 구성함
5. 향후 추진과제 논의
ㅇ Global Challenges에 대응하기 위한 추진과제에 대해 논의함
- 에너지안보 관련, 바이오연료의 지속성을 위한 산업생명공학의 기여
- 식량안보 관련, 식량위기 해소를 위한 농업생명공학R&D의 기여도 확대 등이 제안됨
ㅇ 상기 주제에 대해 사무국이 2009~10 PWB 범위 내에서 가능한 대안을 찾아 제안서를 작성하여 차기 회의에서 논의하기로 함
ㅇ 차기 회의는 차기 WPB 회의(‘09.6.8~10 예정) 전후에 개최하기로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How Cells Age
-
다음글
- OECD Expert Workshop on Policy Issues for the Development and Use of Biomarkers in Health 발표자료
지식
동향
- 정책동향 OECD Health Statistics 2024(요약본) 소책자 2024-10-15
- 정책동향 OECD Health Statistics 2023(요약본) 소책자 2024-10-14
- 기술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24년 7월호] OECD, '첨단재료:나노캐리어 사례 연구' 워크숍 보고서 발간 2024-08-19
- 정책동향 [R&D 이슈브리프] OECD-FAO 농업 전망(Agricultural Outlook) 2024-2033 발표 2024-08-14
- 정책동향 OECD MSTI 2024-March 주요 결과 2024-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