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개인맞춤형 질병예측 및 모니터링 기술]③ 암센서 전이암

  • 등록일2009-03-19
  • 조회수8315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09-03-18
  • 출처
    특허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암센서#암센서-전이암#개인맞춤형 질병예측 기술
  • 첨부파일
[개인맞춤형 질병예측 및 모니터링 기술]③ 암센서 전이암
 
 
암센서-전이암에 대한 연도별 특허출원동향을 살펴보면, 198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연평균 20.9건 내외의 특허출원이 진행되고 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기술 권리화를 위한 활발한 노력이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출원건수가 크게 증가하여 2007년에는 79건이 출원이 이루어질 정도로 지속적인 증가경향을 나타냈다.

그림 1. 암센서-전이암 기술에 대한 연도별 출원동향
 
 
현재 암센서-전이암의 주요 기술내용은 암치료 후 다른 곳으로 전이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기술과 혈관 속 혈액을 채취하여 바이오칩의 암세포 항체 단백질을 통해 암세포가 있는지 검사하는 기술에 대한 출원 특허들이 다수이며, 출원인은 소기업 과 개인 등으로 다양하게 전이암 센서 시스템에 관한 특허가 출원된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 특허건수가 많아 특허장벽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전이암 센서 시스템 분야에 관한 특허건수가 여러 나라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만 암세포 중 일부가 혈관을 타고 돌아다니다가 다른 장기에 붙어서 암 발병되는 것을 미리 인지하는 기술 분야에 대한 활발한 특허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2. 암센서-전이암 기술의 특허망 분포
 

암센서-전이암 기술에 관련된 특허에서 기술수준평가 또는 특허수준평가 수치가 높은 상위 특허들에 대한 수치를 분석해본 결과(표 1 참조), 기술수준평가에서 평균값(5.02점)을 능가하는 특허들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주로 한국과 일본에 출원된 특허들에서 목표 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허수준평가 결과 주로 미국에 출원된 특허들이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최대시장인 미국에 대한 진출의지가 높고, 미국 출원시에 권리적, 기술적인 검토도 철저하게 수행하고 있음을 말한다.
 
특허수준 평가결과 평균값(6.11) 이상을 나타내는 특허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었으며, 주로 미국에 출원한 특허들이었다. 동시에 상업성 및 기술성 역시 모두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 특허들 또한 미국에 출원된 특허들이었다. 특허수준평가결과 미국에 출원된 특허는 상업성 및 기술성이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으며, 한국 및 일본에 출원된 특허는 법적관점 평가에서 미국에 출원된 기술들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표 1. 암센서-전이암 기술의 기술 및 특허수준평가 수치분석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