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오렉신의 뇌신경망 조절 기능과 역할
- 등록일2009-03-20
- 조회수10560
- 분류기술동향
오렉신의 뇌신경망 조절 기능과 역할
신현성, 윤봉준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서론
우리 뇌의 활동은 약 천억 개의 신경세포가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 신경망의 다양한 활성 패턴에 의해 일어난다. 그 구조적 복잡성에 기인한 뇌의 신비는 대부분 아직 미개척의 영역으로 남아 있지만, 지난 백여년 남짓한 기간에 이루어진 놀라운 과학의 발달, 특히 생물학 분야의 발전은 뇌신경 과학 분야에도 지대한 공헌을 함으로써 우리의 뇌에 대한 지식의 범주를 한층 넓게 한 것도 사실이다. 특히 분자생물학적 지식과 연구방법은 신경과학 분야에도 널리 응용되어 많은 성과를 내어 오고 있다. 오렉신의 발견 역시 10여년 전, 분자생물학과 분자유전학의 기법과 지식을 통해 서로 다른 두 연구실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바 있다.1,2. 오렉신은 시상하부(hypothalamus)에 존재하는 극히 적은 수(수천)의 뉴런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그 기능적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점점 커지고 있다. 애초에 섭식(feeding)의 조절 기능을 가진 것으로 생각되었던 오렉신 시스템은 이외에도 수면과 각성의 조절, 보상과 중독, 그리고 최근에는 우울증의 병리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비록 대부분의 인간 행동(behavior)은 여러 신경망의 수없이 많은 뉴런들이복잡하고 다양한 시공간적 패턴을 가지며 활성화됨에 의해 조절되어 그 분자적 혹은 세포적 규명이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반면에 오렉신의 예처럼 단일 분자 혹은 그 수용체에 의한 신호체계가 다양한 행동 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고도 고무적이다. 생물학적 접근이 불가능하다고까지 여겨졌던 정신병리나 행동장애 등에 있어서도어렵고 제한적일지라도 분자적 접근에 의한 치료 기법의 개발이 가능할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하기 때문이다.본 총설에서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오렉신의 보상회로에서의 역할과 이와 관련되어 약물중독과 우울증에 있어서 오렉신 시스템이 관여함을 시사하는실험적 증거들을 중심으로 오렉신의 기능적 중요성을 고찰하고자 한다....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