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Quantitative Mass Spectrometry in Proteomics

  • 등록일2009-04-27
  • 조회수10480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09-04-16
  • 출처
    한국분자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Proteomics#Mass Spectrometry#질량 분석기#오믹스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세포생물학회

 

Quantitative Mass Spectrometry in Proteomics

 

새로운 분석방법이나 분석장비의 등장은 생물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곤 했다. 1952년 Rosalind Elsie Franklin이 촬영한 한 장의 DNA X선 회절 사진을 기초로 제 2차 세계대전 이래 과학 분야 중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이라는 Watson과 Crick의 DNA 모형이 나왔으며, 1983년 생화학자인 Kary Mullis의 중합효소연쇄반응(PCR) 방법은 유전자서열 분석기와 함께 유전체학 (Genomics)의 태동에 중심적 역할을 하며, 오늘날 인간유전체 프로젝트 (Human Genome Project)를 통해 현대 생물학을 오믹스 (-Omics) 시대로 이끌었다. 이러한 오믹스 기술의 중심은 질량분석기(Mass Spectrometry)가 차지하고 있으며, 오믹스 생물학에서 연구자들은 한 두 개의 유전자나 단백질 수준이 아니라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반응으로 생명시스템 수준에서의 생물학적 현상에 대한 총체적 반영 결과를 얻기 원한다. 이러한 생물학 패러다임의 변화는 생명체 구성성분에서도 시스템 수준으로 동정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 요구되고, 따라서 tranomic, proteomic 및 metabolomic 기술 등이 개발되었으며, 2006년 Pubmed에 등록된 논문 분석을 통한 결과를 보면 거의 200종류의 다른 오믹스 기술이 등장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