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Hit Identification using Virtual Screening

  • 등록일2009-07-01
  • 조회수6565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09-06-19
  • 출처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7월호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신약#Virtual Screening#new chemical entity#NCE
출처 :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7월호
 
Hit Identification using Virtual Screening
 
서론

바이오신약은 향후 100년을 먹여 살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제시하였으며,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제약업체의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있는 가운데 멕시코발 신종플루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바이오신약에 대한 관심이 국내외적으로 더해지고 있다. 화학합성 의약품의 경우 신약개발은 이미 한계에 도달했다고 회자되고 있지만 유전자정보를 이용한 맞춤치료가 가능한 바이오신약 개발 또한 그리 쉽지만은 않다. 화학합성 의약품 타미플루를 생산하는 길리아드는 최근 로슈로부터 11억 달러의 로얄티를 받았으며, 2007년 전세계 최대 130억불의 매출을 올린 리피도를 보면 왜 아직도 많은 다국적 제약회사가 화학합성 의약품 개발에 매진하고 있는 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항체, 단백질, 유전자, 줄기세포등 체내에 존재하는 물질로 만든 바이오신약의 시장점유율은 아직 20%를 넘고 있지 않고 있음을 인지해야한다. 현재 글로벌 제약시장은 리피도등의 블록버스터 화합물 신약의 특허만료가 계속되면서 국내 제약산업이 세계제약시장으로 진출 할 수 있는 기회이며, 이 기회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신약연구개발에 힘써야 하며, 이를 위해서 새로운 화합물 소재개발(new chemical entity, NCE)에 주력해야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