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벼흰잎마름병균 유전체 해독 이후 연구성과
- 등록일2009-07-03
- 조회수1495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09-07-02
-
출처
농촌진흥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전체 #벼흰잎마름병균#세균병
- 첨부파일
출처 : 농촌진흥청
벼흰잎마름병균 유전체 해독 이후 연구성과
- 벼흰잎마름병균 기능 유전체 연구성과 발표회 -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에서는 지난 6월 30일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명자원부 별관 강당에서 “벼흰잎마름병균 기능유전체 워크숍”을 개최한다. 벼농사에 큰 피해를 주는 벼흰잎마름병의 발병 현황 및 저항성 유전자 동정, 병원성 관련 유전자 기능분석, 단백질 구조분석 및 병 방제약제 개발, 유용물질 이용 등 다양한 주제 발표로 구성된다.
벼흰잎마름병은 벼농사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세균병으로 최근 지구온난화 추세에 따라 병원균 레이스가 다양하게 분화하고 있으며, 그 피해 규모도 점차 커지고 있다. 2006년도에는 발생면적이 29,485㏊, 벼 수량 피해금액이 1,000억원에 달했다.
농촌진흥청 유전자분석개발과에서는 2001년부터 4년간 벼흰잎마름병균 유전체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2005년에 세계최초로 벼흰잎마름병균 유전체염기서열을 완전 해독하여 세계정상급 학회지(Nucleic Acids Res. 33(2):577-586, 2005)에 발표한 바 있으며, 그 후속 연구로 병원균 레이스 판별 마커 개발 및 예찰, 발병의 생화학적 기작, 친환경적 방제 및 병원균이 생산하는 유용물질 이용 등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다방면의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벼흰잎마름병균의 유전체 해독결과 5,000개에 가까운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들 유전자의 기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00개가 넘는 삽입돌연변이 균주를 제조하여 연구를 진행중이다.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약제방제방법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벼흰잎마름병에 대하여 병저항성 육종, 레이스 판별과 예찰, 병원균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방제약제 개발 뿐만 아니라 식품첨가물 등에 사용되는 고부가가치 생물소재로 전량 수입하고 있는 잔탄검의 생산성 증대 등 생명공학 응용연구도 활성화될 것이 기대된다.

[문의] 농촌진흥청 유전자분석개발과 김정구 031-299-1644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Two of the ”new” Sciences : Nanomedicine and Systems Biology in the United States
-
다음글
- 감귤쌀 탄생! 비만억제, 고지혈증에 효과적
관련정보
지식
- BioINwatch 최대 규모의 오픈소스 Evo2를 활용한 유전체 모델링 및 설계 2025-03-21
- BioINwatch 후성 유전체 비트(Epi-bits)를 활용한 DNA 기반의 데이터 저장 기술 2025-03-18
- BioINwatch 작물 중개 유전체학에 거는 기대와 도전 과제 2025-01-24
- BioINregulation 유전체 데이터 2차 활용 관련 국가별 제도 비교 2025-01-24
- BioINwatch 시행 가능성이 높아진 미국의 생물보안법(US Biosecure Act), 바이오산업 공급망 재편 압박 2024-12-04
동향
- 기술동향 [6월호 테마 Genomics : The Secret Code of Biology] 3차원 후성유전체 분석법과 질병발병 기전에서의 임팩트 2024-06-19
- 제도동향 [이슈 브리핑] 미국 하원 상임위원회 상정 생물보안법안 미리보기 2024-05-21
- 기술동향 [첨단바이오포커스 제 40호] PMDA, 유전체 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치료용 제품 등에 대한 품질·안전성 등의 고려사항에 대한 보고서 2024-04-24
- 기술동향 원숭이두창바이러스의 분리 배양과 전장유전체 정보 분석 2023-04-27
- 기술동향 전장유전체 분석 기반 경북권 코로나19 진단검사 특이사례 분석 2023-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