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지속성장을 위한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 등록일2009-07-29
- 조회수12124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09-07-29
-
출처
KOSEN21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리파이너리#식물자원#녹색성장기술
출처 : KOSEN21 웹진
지속성장을 위한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한국화학연구원 / 황영규
1. 머리말
최근의 사상유래 없는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미국에서는 녹색성장분야 벤처투자 규모가 2/4분기의 15억불에서 3/4분기 28억불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이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에 의존해 왔던 삶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재생 가능한 대체자원 활용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거나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인 것으로 전문가들은 판단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식물자원을 이용하는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도 화석원료를 대체하기 위한 지속성장 기술로서 폭넓게 적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기고에서는 지구온난화와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비하기 위해서 범세계적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녹색성장 기술 중에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에 대해 소개 하고자 한다 (그림1).
2.본론
'바이오리파이너리' 란 원유로부터 각종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기존의 기술과 달리 석유대신 나무나 볏짚 등과 같은 식물을 원료인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화학제품이나 바이오연료 등을 생산하는 기술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림 2).
● 바이오매스(Biomass): 옥수수, 콩, 사탕수수, 볏짚, 목재류 등 식물자원
● 바이오기반 화학제품: 유기산, 아미노산, 폴리올, 바이오플라스틱 등
● 바이오연료: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바이오부탄올 등
● 바이오기반 화학제품: 유기산, 아미노산, 폴리올, 바이오플라스틱 등
● 바이오연료: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바이오부탄올 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Roaming receptors
-
다음글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관련정보
동향
- 기술동향 [ASTI Market Insight 212]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리파이너리 2024-02-08
- 제도동향 나고야의정서 국내외 동향 ABS BRIEF [제 112호]지역협정이 아프리카의 생물다양성과 지속가능한 무역을 촉진하는 법 등 2021-09-14
- 정책동향 나고야의정서 국내외 동향 ABS BRIEF [제 109호] 한반도 토종식물자원 생명정보 빅데이터 구축한다 등 ~ 2021-06-09
- 산업동향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현황 2018-03-15
- 기술동향 바이오리파이너리 : 고부가가치 화합물 생산을 위한 해조류 유래 알지네이트의 수열전환기술 2014-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