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압타머 (Aptamer) 개발의 최근 연구 동향

  • 등록일2009-10-27
  • 조회수15900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09-09-22
  • 출처
    한국미생물 생명공학회 e-생물산업
  • 원문링크
  • 키워드
    #압타머#Aptamer#DNA#RNA#SELEX
  • 첨부파일
압타머 (Aptamer) 개발의 최근 연구 동향
 

장승훈, 정기준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압타머 (Aptamer)는 그 자체로 안정된 삼차구조를 가지면서 표적분자에 높은 친화성과 특이성으로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단일가닥 핵산 (DNA, RNA 또는 변형핵산)으로 “fitting”의 의미를 가지는 라틴어 “aptus”에서 그 어원이 유래했다. 압타머는 1990년에 Colorado 대학의 Larry Gold 연구팀에 의해 SELEX (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라는 압타머 발굴 기술이 처음 개발된 이후(1), 저분자 유기물, 펩타이드, 막 단백질까지 다양한 표적분자에 결합할 수 있는 많은 압타머들이 계속해서 발굴되어 왔다. 압타머는 고유의 높은 친화성 (보통 pM 수준)과 특이성으로 표적분자에 결합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자주 단일 항체와 비교가 되고, 특별히 “chemical antibody”라고도 불리는 만큼 대체항체로서의 가능성도 매우 높다. 먼저 압타머의 장점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