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메밀, 항당뇨와 노화방지의 열쇠를 찾다

  • 등록일2009-12-04
  • 조회수12671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09-12-01
  • 출처
    농촌진흥청
  • 원문링크
  • 키워드
    #메밀#노화#항당뇨#노화방지#루틴
  • 첨부파일
메밀, 항당뇨와 노화방지의 열쇠를 찾다
- 쓴메밀의‘루틴’이 기능성 식품소재로 변신 -
 
□ ‘메밀꽃 필 무렵’ 소설속의 메밀은 더 이상 구황작물이 아니다. 그 자체로 소박하고 은은한 풍미로 우리의 입맛을 자극하던 메밀국수 속에 숨겨진 새로운 기능활성 물질을 찾아내고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건강식품으로써 거듭나고 있다.
 
□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쓴메밀의 항당뇨와 노화방지 효과 등 새로운 기능성을 찾아내고, 다양한 식품소재를 개발함으로써 메밀의 신수요를 창출하고 메밀산업의 대대적인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고 밝혔다.

○ 메밀은 식품학적인 가치가 인정되면서 소비가 조금씩 늘고 있는 추세이나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식품소재가 단순하고 품질이 낮아 메밀산업은 침체위기에 직면해 있다.

○ 따라서, 국내 메밀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메밀의 새로운 기능성을 밝히고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다양한 식품소재를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수요창출이 우선되어야 한다.
 
□ 농촌진흥청은 메밀의 새로운 수요창출을 위해 기존메밀에 비해 약리적 효과가 뛰어나고 수량도 많아 산업체와 농가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기능성 쓴메밀 품종 ‘대관3-3호’를 개발하였다.

○ ‘대관3-3호’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루틴’ 함량이 기존 메밀에 비해 70배 이상 월등히 높고 세포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에서 1년에 2번 재배가 가능하고 연차간 재배안정성이 뛰어나 수량이 기존 메밀에 비해 20% 이상 높아 새로운 특화작물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
 
□ 특히 쓴메밀의 ‘루틴’은 동물 임상시험을 통해서 항당뇨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쓴메밀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sirt1'유전자는 항당뇨 외에 암 발생 억제와 노화방지와 관련된 유전자로서 금후 새로운 천연활성 의약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 이 밖에도 국내에서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100% 메밀국수 제조기술’을 처음으로 개발하였으며, 기능 활성 물질이 증진된 새로운 ‘컬러새싹채소 생산기술’을 개발하여 보급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손쉽게 쓴메밀 관련 식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농촌진흥청 김정곤 국립식량과학원장은 “현재 산업체와 공동으로 쓴메밀의 기능성을 활용한 다양한 식품소재들을 개발하였고, 일부는 이미 제품화되어 판매 단계에 있으며, 쓴메밀에서 처음 확인된 노화억제 유전자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금후 항암, 노화방지 및 항당뇨에 대한 인체실험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히고 “이번에 개발된 기능성 쓴메밀 품종과 다양한 식품소재들이 침체를 맞고 있는 한국 농업에 새로운 활력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참고자료
 
1. 국제 메밀산업 일반현황

□ 재배현황
□ 수출입 현황
구 분
‘40
‘60
’80
‘90
‘00
‘04
‘07
재배면적(천ha)
46.4
19.0
9.5
4.9
3.0
2.1
2.7
수량(kg/10a)
30
39
81
102
98
98
113
생산량(천톤)
14.1
10.0
7.7
5.0
2.9
2.0
3.0
생산액(억원)
-
-
33
34
52
60
90

□ 주요 용도

○ 곡 물 : 소바(일본), 팬케잌, 비스킷, 시리얼(유럽, 북미), 포리쥐, 수프(러시아), 식초(중국),
술(아시아)
○ 채 소 : 인도, 최근 우리나라와 일본의 새싹채소 인기
○ 밀원식물 : 메밀꿀은 항산화 활성이 높은 고급꿀로 고가에 판매
○ 녹비작물 : 저투입 단기재배, 부숙 빠름, 고건물(7t. D.W/1ha), 물리성 개선
○ 피복작물 : 유휴지 잡초발생 억제 및 토양유실 방지
○ 약용식물 : 전통적인 약초요법(일본, 중국), 루틴 추출물의 의약품 소재화(유럽)

2. 국내 메밀산업 현황
 
□ 생산현황 및 수출입 동향 (FAOSTAT, 농축산물 표준소득)

○ 연도별 생산현황
구 분
2007년
2015년
2025년
총수요량(M/T)
7,000
8,500
9,800
공 급 량(M/T)
3,000
3,600
4,500
- 국내생산량(M/T)
3,000
3,600
4,500
. 재배면적(ha)
2,650
3,000
3,000
. 수량(kg/10a)
100
120
150
- 수입량(M/T)
3,400
3,500
3,000
자 급 율(%)
42.8
42.3
45.9

○ 지역별 생산현황

○ 가격 및 수출입 동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