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Retinoic acid에 의한 장관련 면역조직에서의 langerin 발현 수지상세포 분포 조절
- 등록일2010-02-02
- 조회수8609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0-02-02
-
출처
(사)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2월호
- 원문링크
-
키워드
#수지상세포
- 첨부파일
Retinoic acid에 의한 장관련 면역조직에서의 langerin 발현
수지상세포 분포 조절
권미나 : 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Mucosal Immunology Section, Chief
장선영 : 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Post-doc.
현소속: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Harvard Medical School, Post-doc.
연구배경
수지상 세포 (dendritic cells, DCs)는 일반적으로 면역 반응을 시작하여 선천성 및 후천성 면역을 매개하고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골수 세포로부터 분화된 수지상 세포는 특정 단백질의 표면 발현, 세포 이동 패턴, 분포 및 사이토카인 발현에 따라 세분할 수 있다. Langerin (CD207)은 랑게르한스 세포 (Langerhans’ cell) 의 세포 표면과 Birbeck granules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C-type lectin으로 처음 보고되었다 (1). Langerin은 Birbeck granules 생성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면역반응에서의 역할은 아직 확실히 규명되지 못하였다. 최근에는 랑게르한스 세포외에도 langerin을 발현하는 새로운 수지상 세포가 피부 진피 조직에서 발견되었으며 흉선 수지상 세포나 이차면역기관의 일부인 CD8α+ 수지상 세포에서도 발현이 확인되었다 (2, 3, 4). 장관 조직에서 풍부한 비타민 A의 대사체인 retinoic acid (RA)는 장관면역조직에서 중요한 조절인자로 최근 알려졌다 (5, 6). 특히 T 세포 및 B 세포의 장관련조직으로의 이동 및 조력 T 세포 17 (TH17) 생성 억제 및 조절 T 세포 (Treg) 분화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듯 지금까지 RA의 면역반응에서의 기능은 T 세포나 B 세포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으나 본 연구진은 RA가 면역반응을 시작하고 조절하는 수지상 세포 자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