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생명정보학을 이용한 유전자칩 정보의 생물학적 해석

  • 등록일2006-07-07
  • 조회수8963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06-07-10
  • 출처
    ksbmb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전자칩
  • 첨부파일

출처 : ksbmb 웹진

 

 생명정보학을 이용한 유전자칩 정보의 생물학적 해석

 
 
 
1. 서론
생명정보학(Bioinformatcs)은 인간유전체사업의 완성에 이은 후기유전체시대를 이끄는 핵심적 분야로 자리 잡았다. 인간유전체사업은 인간 유전체의 30억 염기서열을 규명하였을 뿐 아니라 유전체 다형성에 기반한 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과 유전체 발현분석에 기반한 예측의학(Predictive Medicine)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여 정보?유전체의학(Biomedical Informatics and Genomic Medicine)의 임상적용을 가시화하고 있다. 인간유전체사업은 분자유전체 분석기술의 고도병렬화 및 소형화(massive parallelization and miniaturization)를 촉발하여 마이크로어레이, 랩온어칩, 초고속서열결정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 등의 발달을 통한 대용량생물학(High Throughput Biology)과 시스템의학(Systems Medicine)의 시대를 열고 있다.
생명정보학은 생명과학과 컴퓨터과학이라는 두 거대 분야의 만남으로 이루어졌을 뿐 아니라, 생명과학의 모든 세분야들과 낱낱이 결합하는 광범위한 학문으로서, 그 연관분야의 목록만을 나열하는 것으로도 주어진 지면이 턱없이 부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실례들을 중심으로 그 동안의 생명정보학 발전과정을 간략히 살펴보고, 현재 분야를 주도하고 있는 기능유전체학 (Functional Genomics) 및 개인유전체학(Personal Genomics)에 기반한 최신 연구 방법론의 경향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아직까지 생명정보학을 생물학적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구조 모델링, 단백질 3차 구조 분석과 같은 생명과학 연구의 이차적 보조수단이나, 특정분야에 국한된 연구 수단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생명과학에서 정보학의 중요성은 단순히 전통적 실험생물학적 연구의 가설검정을 위한 통계처리기법의 중요성에 기인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바로 생명현상이 자연계에서 물질과 물질, 물질과 에너사 상호간의 “진정으로 정보학적 현상”이라는 근원적 사실에 기인하는 것이다. 생명정보학의 급속한 발전은 과거 분류학에 머물던 생물학이, 생명현상을 “물질계의 화학적 상호작용”으로 재조명하면서 유기화학 및 생화학으로 꽃피었고, 다시, 생명체 고유의 거대분자들의 특성과 역할에 주목하며 세포생물학 및 분자생물학의 형식으로 발전을 거듭해온 현대 생명과학 발달의 현주소와 그 진화의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