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대사질환-비만과 대사증후군 및 당뇨병에 관한 최신 연구를 중심으로 한 고찰
- 등록일2010-10-04
- 조회수1778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0-10-01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비만#대사증후군 #당뇨병
- 첨부파일
대사질환-비만과 대사증후군 및 당뇨병에 관한
최신 연구를 중심으로 한 고찰
구승회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분자세포생물학교실
1. 서론
비만과 제2형 당뇨병은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건강의 위협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WHO)에 따르면 당뇨병으로만 사망자가 110만 명을 넘어서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이는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당뇨병 학회의 통계에 따르면, 당뇨병환자는 2002년 한 해에만 약 1천 2백만 명에 달하고 있으며, 2020년에 이르면 당뇨병 환자는 1천 7백만 명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3년의 경우 당뇨병 환자가 400만 명을 상회하여 이미 전 인구의 8.3%에 이르고 있으며, 2020년에는 620만 명으로 전 인구의 10%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보이는 등 그 증가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2004년 출간된 심평원의 자료에 따르면 2030년에는 전 국민의 약 15%가량이 당뇨병환자가 될 수 있는 내재적 위험을 안고 있다.
이는 이전에 주로 고 연령층에서만 나타나던 제2형 당뇨병이 소아비만과 연결되어서 비만에 의한 제2형 당뇨병의 이른 시점에서의 발병증가와 연관된다고 판단된다. 비만은 또한 최근 증가되고 있는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의 증가와도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대사증후군은 인슐린 저항성, 고지혈증 및 고혈압 등의 증상의 총칭으로 당뇨병에 의한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로 인식된다 (2, 3).
이번 글에서는 비만과 대사증후군, 그리고 당뇨병의 발병 기전 및 원인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대사질환 연구의 현재 및 전망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