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에이즈 치료제 개발에 있어서의 epigenetics 연구 동향
- 등록일2010-11-15
- 조회수13344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0-11-12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 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에이즈#epigenetics
- 첨부파일
에이즈 치료제 개발에 있어서의 epigenetics 연구 동향
Current progress in epigenet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strategies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면역병리센터 에이즈ㆍ종양바이러스과
Ⅰ. 들어가는 말
Epigenetics란 DNA염기서열의 변화를 초래하지 않고 유전자의 조절에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분야로 1940년대 영국의 발생학자이며 유전학자인 Waddington이 “유전자가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표현형(phenotype)을 만들어 낸다.”라는 의미로 ‘Epigenetics'라는 단어를 처음 기술하였다[1]. 즉, epigenetics란 같은 유전자를 지닌 개체 간에 나타나는 표현형상의 차이점이라든지, 각 개인별로 나타나는 질병 저항성의 상이함 등 기존의 학문으로는 설명이 어려웠던 현상의 규명에 한층 힘을 실어 줄 수 있는 학문이기도 한 것이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완성 이후 유전자지도만 완성되면 모든 질병치료의 열쇠를 얻을 것으로 기대했던 것이 예상보다 저조한 실적에 그치고 있는 것도 어쩌면 epigenetics의 측면을 간과한데서부터 시작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실제로 유인원과 인간의 DNA염기서열은 90% 이상 일치하고, 바나나와의 일치도 역시 50%에 달하는 것을 생각하면 단순한 유전자 서열의 차이만으로 유전 현상과 개체의 다양성 그리고 질병의 원인을 설명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유전자 결함으로 초래되는 질병의 발병유무 역시 유전자의 차이로만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범주에서 점차 epigenetics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암이나 유전질환뿐만 아니라 감염질환에서도 epigenetics를 도입하여 문제를 해결해 보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원고에서는 만성화되어 가고 있는 AIDS에 있어서 이러한 epigenetics가 어떻게 도입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