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암에서 광역학치료 Photodynamic therapy for cancer
- 등록일2011-03-21
- 조회수12056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1-03-02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광역학치료#Photodynamic therapy
- 첨부파일
암에서 광역학치료 Photodynamic therapy for cancer
정필상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교실, 의학레이저연구센터
1. 서론
빛을 치료에 이용한 것은 수천 년 전부터라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백여 년 전부터 연구자들은 빛과 특정 화학성분이 세포사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900년에 독일 의과대학생인 Oscar Raab는 아크리딘염료를(콜타트에서 얻은 물감) 빛과 함께 노출 시 짚신벌레를 죽였다고 하였다. 그 후 1903년에 Herman Von Tappeiner와 A.Jesionek은 피부 종양에 에오신을 바르고 빛을 조사해 종양에 반응이 있음을 확인하여 의학적 치료에 사용하였고 1904년 von Tappeiner와 Jadlbauer는 광과민 반응에 산소의 필요성을 입증하여 1907년 이러한 현상을 산소 의존성 광감작 현상으로 설명하면서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 라는 용어를 만들게 되었다.
PDT는 두 개의 각각의 비독성 성분을 포함한다. 첫 번째 성분은 photosensitizer로 target 세포나 조직에 위치한 광감작분자이고 두 번째 성분은 광감작제를 활성화 시키는 특정 파장의 빛이다. 빛에 의해 활성화된 광감작제는 체내산소와 결합하여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ROS)을 발생시켜 세포와 조직에서 독성을 나타낸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