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마이크로RNA의 생물정보학적 분석 및 연구방법
- 등록일2011-04-27
- 조회수15144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11-04-22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 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Bioinformatics#생물정보학
- 첨부파일
마이크로RNA의 생물정보학적 분석 및 연구방법
Bioinformatics analysis of microRNAs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 바이오과학정보과 이광희
Ⅰ. 들어가는 말
마이크로RNA(microRNA, miRNA)는 약 22개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짧은 non-coding RNA로서 유전자의 발현 과정에서 전사 후 조절인자(post-tranional regulator)로서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은 상보적인 염기 서열을 가진 표적(target) 메신저RNA(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표적 mRNA들을 분해시키거나 단백질로 번역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러한 조절 기능이 개체의 발생과정을 조절할뿐만 아니라 질환의 발병원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현재 생물학 분야에서 매우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miRNA의 생성과정 및 기능을 소개하고 축적된 정보를 이용하여 생물정보학에서 이용되는 연구방법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