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조직은행(Tissue bank)을 위한 인체조직의 저장기술 및 응용연구

  • 등록일2011-04-27
  • 조회수9021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1-04-22
  • 출처
    질병관리본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조직은행# tissue bank
  • 첨부파일

조직은행(Tissue bank)을 위한 인체조직의 저장기술 및 응용연구
Preservation technologies of human tissue and applications for tissue bank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 생물자원은행과  조상연

 

 


Ⅰ. 들어가는 말


1953년 왓슨과 크릭이 DNA의 구조를 발견한 이후 유전학을 비롯한 분자생물학, 세포학, 발생학, 미생물학 등 생명관련 연구는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특히 2000년대에 들어와 인간게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를 통한 인간유전체 지도의 완성은 질환에 대한 개인별 맞춤형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유전체 연구의 새 장을 열게 된 주요한 계기가 되었다. 유전체 분석의 새로운 기술 1)과 단백체학(Proteomics), 대사체(Metabolomics) 등 다양한 오믹스(Omics) 2) 기반의 연구는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고품질의 생물자원(조직, 체액, DNA, RNA 등)의 필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연구용으로 활용 가능한 생물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 저장하고, 다양한 활용 연구에 이를 분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이오뱅크의 구축은 질병 기전연구를 통한 진단 및 치료법의 개발과 예방, 개인맞춤 의학(Personalized medicine) 발전에 중요한 기초단계로 인식되고 있다. 나아가 국민건강수준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미래 전략사업으로 전망 3)되어 세계 각국에서 경쟁적으로 구축, 운영중에 있다. 수십 명에서 수백 명 규모의 소규모 대학병원 기반 바이오뱅크뿐만 아니라, 몇 만에서 몇 십 만 명에 이르는 수집목표를 설정한 대규모 국가 지원 바이오뱅크가 영국, 일본, 아이슬란드, 미국, 스웨덴, 캐나다, 에스토니아, 싱가폴 등 세계 각국에서 속속 구축 운영중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