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간흡충과 암발생의 관련성 및 발생기전
- 등록일2011-05-02
- 조회수8567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1-04-29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간흡충
- 첨부파일
간흡충과 암발생의 관련성 및 발생기전
Relation of Carcinogenesis to Clonorchis sinensis and its mechanism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면역병리센터 말라리아기생충과 주정원
Ⅰ. 들어가는 말
20세기의 전반부까지만 하더라도 병원체 감염에 의해 나타나는 병리기전과 세포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암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암발생의 원인과 기전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병원체 감염에 대한 진단 기술이 발전하면서 전혀 무관한 것으로 여겨졌던 병원체 감염과 암발생이 유의한 연관관계가 있음이 차츰 보고되고 있다. 병원체 감염과 암발생의 관계가 밝혀지면서 암을 예방하는 전략수립에 있어 병원체 감염의 예방과 관리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중요한 인식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미 병원체 감염 예방과 치료에 대하여서는 오랜 기간에 걸친 공중보건 관리 전략의 발달로 잘 갖추어져 있으므로 다양한 조직에서 발생하는 암과 병원체 감염과의 정확한 인과관계를 밝혀낸다면 암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따라 최근에 병원체 감염과 암발생의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로 병원체 유래 발암 요인 동정, 숙주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간흡충증은 2004년 「제7차 전국장내기생충조사」에서 감염률이 가장 높은 기생충성 질환으로 주요 관리 대상 감염성 질환이다[1]. 최근까지도 간흡충 감염은 우리나라 일부 대소 하천유역을 중심으로 높은 유병률이 유지되고 있으며, 간기능 이상을 초래하고 암발생에 관계한다는 역학적 연구 결과이 있다. 이 글에서는 기생충 감염과 암발생간의 관련성에 대해 병원체 감염과 암발생의 관계, 병원체 감염에 따른 암발생의 기전 등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감염률이 아직도 높게 유지되고 있는 간흡충의 발암원인생물체로서의 역할과 이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생략)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치료용 항체의 개발 동향
-
다음글
- 미국 2011년 10대 유망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