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치료용 항체-약물 결합체 (antibody-drug conjugate)의 개발 동향
- 등록일2011-06-01
- 조회수14987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1-06-01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치료용 항체
- 첨부파일
치료용 항체-약물 결합체 (antibody-drug conjugate)의 개발 동향
(Trends for Antibody-drug Conjugates for Therapy)
김미경 (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시스템면역과학과)
1. 서론
지난 20년간 항체공학은 생쥐에서 단클론 항체 (monoclonal antibody, mAb)를 개발하는 하이브리도마 (hybridoma) 기술을 바탕으로 키메릭 항체 (chimeric mAb), 인간화 항체 (humanized mAb) 그리고 인간 항체 (fully human mAb)의 제조기술 개발로 거듭났으며, 지금은 항체가 하나의 치료용 약물 (therapeutic mAb)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까지, FDA의 승인을 받은 28개의 치료용 항체는 광범위한 질병 치료제 (예. 이식거부반응, 암, 자가면역질환과 염증, 심장질환, 전염성 감염 등)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림 1), 380억불의 치료용 항체 세계 시장 규모 (2009년도 기준)와 약 300여 종의 치료용 항체가 현재 임상개발 단계에 있어 앞으로 더 많은 치료용 항체가 개발되고 동시에 상업화가 될 것으로 보이며 또한 차세대 치료용 항체 개발에도 많은 연구가 적극적으로 진행 중이다. 차세대 항체, 즉 기존의 항체 (naked mAb)보다 효능을 향상시키는 항체로는 항체와 약물이 결합체된antibody-drug conjugate (ADC), 이중특이항체 (bispecific antibody)와 biobetter가 있으며, 이중 ADC는 성공적인 치료용 항체의 개발 milestone으로 지난 1년간 Seattle Genetics사와 Immunogen사에게 각각 1265백만불과 245백만불의 수익을 안겨주었다. ADC는 단클론 항체의 특이성과 약물의 세포독성(cytotoxicity) 의 두 구성 요소의 가장 좋은 특성을 조합한 것이다. 이처럼 치료용 항체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게 된 주요 3가지 이유로는 [1] 끊임없는 항체 개발 기술발전과 항체의 기능과 효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항체만의 구조적 특성; [2] 향상된 효능과 안전성 (safety)이 바탕이 된 치료용 항체의 상업적 성공확립; [3] 경쟁 제약 회사간의 target 차별화를 둔 신약개발 도모 및 차세대 (2, 3세대) 항체 제품개발 시도로 꼽을 수 있겠다. 본지의 4월호와 5월호에서 항체의 구조, 기능 및 항체 치료제의 개발에 필요한 항체공학기술과 이중특이항체 (bispecific antibody) 제조기술들에 대해서 홍효정 박사와 차상훈 박사께서 소개하였고 본고에서는 차세대 치료용으로 현재 활발한 연구와 임상시험 진행중인 ADC의 신약개발과 관련된 배경과 동향에 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