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단백질 응집제어 기술 : 퇴행성 신경질환과 아밀로이드
- 등록일2007-03-05
- 조회수5672
- 분류기술동향
출처 :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단백질 응집제어 기술 : 퇴행성 신경질환과 아밀로이드
백승렬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이정호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서론
단백질의 비정상적 응집현상은 단백질 연구의 한낱 귀찮은 존재로만 여겨져 왔다. 그러나, 단백질 응집현상이 생물공학 및 의약학 관련 산업분야에 경제 및 기술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특히 노인성 치매, 파킨슨씨병, 광우병 등 다양한 퇴행성 신경질환의 공통된 병리현상으로 알려짐에 따라 단백질 응집에 대한 많은 관심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간유전체 사업의 완결과 함께 포스트게놈 시대에 접어든 오늘날, 유전자 기능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많은 단백질의 유전자 클로닝 및 대장균에서의 과발현이 요구되며,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단백질 응집 현상의 제어책 개발이야말로 21세기 생물공학 및 생명과학에서 극복해야 할 우리의 당면과제라할수있다. 본원고에서는 단백질 응집현상을 퇴행성신경질환과의 연관성에 주초점을 맞춰 기술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watch 어떻게 하면 단백질 구조 만큼 RNA 구조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까? 2025-04-03
- BioINwatch AI 기반 De novo 단백질 설계를 통한 항독소 치료제 개발에 관한 연구 2025-03-11
- BioINwatch 바이오신약 개발을 혁신할 AI 단백질 언어 모델 2025-02-14
- BioINwatch RNA 구조체 분석을 통해 규명한 단백질 번역 조절의 새로운 메커니즘 2024-12-05
- BioINwatch '중심 원리(Central Dogma)' 패러다임을 확장한 microRNA 2024-11-18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