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간에서 손상된 적혈구의 제거 기전 규명
- 등록일2011-08-03
- 조회수6901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1-08-01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 원문링크
- 첨부파일
간에서 손상된 적혈구의 제거 기전 규명
Mechanism for phosphatidylserine-dependent erythrophagocytosis in mouse liver.
BLOOD 2011 May 117(19): 5215-5223.
김인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세포생물학교실)
박승윤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 |
연구배경 | |
모든 생명체에는 조직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혈액으로부터 노화 혹은 사멸과정에 있는 손상적혈구 조속한 제거가 요구되며 이러한 적혈구의 제거과정은 주로 간과 비장에서 이루어짐이 잘 알려져 있다. 적혈구의 생존기간은 120일로 매일 170억 개의 적혈구가 제거되어야 하며, 간과 비장의 대식세포는 1초에 약 2백만 개의 적혈구를 제거하여야 한다 (1). 하지만 대식세포는 사멸과정에 있거나 노화된 백혈구의 제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외 macromolecule과 pathogen의 제거 등 여러 면역반응에도 작용한다. 이러한 과다한 대식세포의 기능은 사멸세포, 손상된 세포 및 노화세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보조적인 기전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