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2010년도 우리나라 급성설사질환 유발 원인 세균의 분리현황 및 특성
- 등록일2011-09-14
- 조회수7848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1-09-09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급성 설사질환
- 첨부파일
2010년도 우리나라 급성설사질환 유발 원인 세균의 분리현황 및 특성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bacteria causing acute diarrhea in Korea, 2010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센터 장내세균과 이덕용
Ⅰ. 들어가는 말
급성 설사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30-50억 명의 환자가 발생하며, 약 이백만명의 환자가 사망에 이르게 된다[1, 2]. 이런 공중보건학적인 중요성으로 인해 설사질환에 대한 감시는 다른 질환에 비해 일찍 시작되었으며, 이미 많은 나라에서 설사질환 관련 감시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36개국의 국가표준실험실(National Reference Lab)이 참여하는 엔터넷(EnterNet)을 운영하고 있으며[3], 미국과 호주에서는 식품매개질환에 대한 감시체계로 각각 푸드넷(FoodNet)과 오즈넷(OzFoodNet)을 운영하고 있고[4], 캐나다에서는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NESP (National Enteric Surveillance Program)와 지역 거점 중심의 C-EnterNet이 유기적으로 운영되고 있다[5]. 가까운 일본에서는 국립감염병연구소(NIID)가 중심이 되어 병원체 검출 정보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