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발암, 전이 과정의 비정상적 당질화와 이를 인지하는 렉틴

  • 등록일2011-10-04
  • 조회수6509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1-10-04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암바이오마커
  • 첨부파일

발암, 전이 과정의 비정상적 당질화와 이를 인지하는 렉틴


(Aberrant Glycosylation and Use of Lectin for Cancer Biomarker Discovery)

 


강정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략사업본부 FHCRC 공동 연구센터)
김용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략사업본부 FHCRC 공동 연구센터)

고정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략사업본부 FHCRC 공동 연구센터)
 

 
1. 서론

 


선, 후진국에 관계없이 종양(암)은 부동의 사망률1위의 질병으로 2005년, 세계적으로 7천6백만(13%)명의 암환자가 발생했으며, 우리나라에도 암으로 인한 사망자가 날로 증가하여 심각한 사회 경제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더욱이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과거 10년 동안 10%이상으로 증가하여 상당한 기회비용의 상실과 암 치료를 위한 사회경제적 비용의 증가로 인해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30여 년 간의 암 생존율을 조사한 연구 자료에 의하면 암 치료기술에 대한 막대한 투자로 인한 현격한 의료정보와 의료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말기 암환자의 생존율은 크게 향상되지 않았으며, 최초 발생된 원발소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다른 조직으로 이동하는 전이성(metastasis)을 보이는데 전이가 높을수록 생존율은 낮았고, 이러한 경향은 지난 30년 사이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아 왔다. 이는 화학요법 등을 통한 치료가 생존율 증가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함을 제시하며 조기발견이나 암 예방 등에 더 집중하여 연구와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암 연구 패러다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렇듯 암을 조기 발견해 낼 수 있는 표지자를 암바이오마커(cancer biomarker)라 하는데, 이 암바이오마커의 개발은 순수 학술적 입장에서 뿐만 아니라 산업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