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질병관리본부 이동한 연구관, 미국감염병학회(IDSA)에서 '국제 젊은 연구자상' 수상 쾌거!

  • 등록일2011-10-25
  • 조회수6947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1-10-24
  • 출처
    질병관리본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국제 젊은연구자상
  • 첨부파일
    • hwp 질병관리본부_이동한_연구관__미국감염병학회에서_국제_젊은_연구... (다운로드 122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질병관리본부 이동한 연구관, 미국감염병학회(IDSA)에서 '국제 젊은 연구자상' 수상 쾌거!


- 질병관리본부 에이즈·결핵관리과 결핵T/F팀 이동한 팀장 -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전병율)는 에이즈·결핵관리과 결핵퇴치T/F팀 이동한 팀장(보건연구관, 40세)이 미국감염병학회(IDSA: Infectious Diseaes Society of America)가 수여하는 '국제 젊은 연구자상(International Young Investigator Award)'을 수상했다는 쾌거를 전했다.


 ○ ‘국제 젊은 연구자상’은 감염병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와 위상을 갖고 있는 미국감염병학회(IDSA)에서 수여하는 상으로 감염병 관련 전문가에게는 매우 영예로운 수상이다.


 ○ 지난 2009년 전 국민을 불안과 공포에 빠뜨린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과 관련한 연구로 수상하게 되어 그 의의가 더 크다.

 

□ 이동한 팀장은 지난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유행 당시 ‘공중보건위기대응과’에서 근무하면서 신종인플루엔자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데 앞장섰다.


 ○ 신종인플루엔자 유행 시 의학적 전문성과 사명감을 갖고 정책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진행하게 된 것이 이와 같은 큰 성과를 거두게 된 배경이다.


□ 이번에 수상하게 된 「항바이러스제 국가처방자료를 이용한 신종인플루엔자 A(H1N1)의 재생산지수 추정(Estimation of the Reproduction Number of Pandemic Influenza A(H1N1) 2009 from Antiviral Agent Consumption)」 연구는


 ○ 일자별 국가 항바이러스제 처방자료를 이용하여 신종인플루엔자 발생양상을 분석하고, 신종인플루엔자의 재생산지수*를 추정한 것이다.


   * 재생산지수 : 감염성이 있는 환자가 감염 가능 기간동안 직접 감염시키는 평균 인원 수(1보다 클 경우 감염병 유행이 확산되고, 1보다 작을 경우 유행이 소멸됨.)

 

□ 질병관리본부 이동한 팀장은 “기존 외국 연구들이 유행 초기에 수천명의 확진환자를 대상으로 신종인플루엔자 재생산지수를 추정한 반면, 이 연구는 국가 항바이러스제 처방자료를 이용하여 신종인플루엔자 유행이 최고에 달하는 시점(최고 처방량 ’09년 10월 30일 13만명분)에서의 재생산지수를 추정한 것이다”며,


 ○ “신종인플루엔자와 같은 전염병이 대규모로 발생할 때 국가의 정책적 방안에 대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기대했다.


□ ‘국제 젊은 연구자상’은 10월 20일~24일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된 제49회 미국감염병학회에서 이동한 팀장이 직접 수상했다.
 

 


  <관련 문의사항>
    질병관리본부 에이즈·결핵관리과
    이윤재 선임연구원 ☎ 02-6929-3271

 


  <붙임> 논문 요약본(국문) 및 개인 이력

 

□ 수상 논문 주요 내용


○ (연구명) 「항바이러스제 국가처방자료를 이용한 신종인플루엔자 A(H1N1)의 재생산지수 추정(Estimation of the Reproduction Number of Pandemic Influenza A(H1N1) 2009 from Antiviral Agent Consumption)」

○ (연구개요)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A(H1N1) 대유행 시 일자별 국가 항바이러스제 처방자료를 이용하여 신종인플루엔자 발생양상을 분석하고, 신종인플루엔자의 재생산지수*를 추정함.
    - 항바이러스제 사용량이 증가하는 그래프의 기울기를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신종인플루엔자의 확산속도를 추정함.
     * 재생산지수 : 감염성이 있는 환자가 감염 가능 기간동안 직접 감염시키는 평균 인원 수(1보다 클 경우 감염병 유행이 확산되고, 1보다 작을 경우 유행이 소멸됨.)

○ (연구결과)
    - 309만명(총인구의 6.2%)이 항바이러스제를 처방받았음.
    - 항바이러스제 처방률은 3-19세 소아?청소년에서 높았고, 농어촌보다 도시지역에서 높았음.(인구 10만명 당 기준)
    - 항바이러스제 처방이 10월 중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0월 30일 최고 정점(13만명분)에 도달하고 11월 중순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음.
    - 단순결정론적방법으로 추정한 10월 14일에서 28일까지의 재생산지수는 1.44 (평균세대기* 2일로 가정 시) ~ 1.66 (평균세대기 3일로 가정 시)임. (신종인플루엔자 환자 1명이 회복될 때까지 1.44~1.66명을 감염시킨다는 의미)
     * 세대기 : 감염 시작 시점부터 바이러스 배출이 가장 많아 전파력이 가장 높은 시점까지의 기간

○ (연구의 의의) 기존 외국 연구들이 유행 초기에 수천명의 확진환자를 대상으로 신종인플루엔자 재생산지수를 추정한 반면, 이번 연구는 국가 항바이러스제 처방자료를 이용하여 신종인플루엔자 유행이 최고에 달하는 시점(최고 처방량 ’09년 10월 30일 13만명분)에서의 재생산지수를 추정하였음.

□ 개인 이력


질병관리본부 에이즈·결핵관리과 결핵퇴치T/F팀 이동한 팀장(보건연구관)  ? (1997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2004년) 예방의학 전문의 취득
  ○ (2011년) 연세대학교 대학원 졸업(보건학 박사)
  ○ (2004년~현재) 질병관리본부 보건연구관
   - 역학조사과, 예방접종관리과, 공중보건위기대응과, 現 에이즈·결핵관리과 결핵퇴치T/F팀장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