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AIST 정종경 교수팀, AMPK 효소 항암기능 최초 규명
- 등록일2007-05-09
- 조회수8994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07-05-09
-
출처
pharmstoday
- 원문링크
-
키워드
#AMPK 효소
KAIST 정종경 교수팀, AMPK 효소 항암기능 최초 규명
- MPK 활성화를 통해 대장암 세포가 정상으로 변화 -
- 5. 8(화) 네이처(Nature 誌) 속보판에 게재-
AMPK(AMP-activated Kinase)가 완전 결손된 모델동물을 제작 활용하여 AMPK의 항암 기능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이 지원하는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KAIST 정종경(鄭鍾卿) 교수 연구팀(세포성장조절유전체연구단)은 (주)제넥셀, 충남대 의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협력하여 당뇨, 비만 관련 유전자로 알려졌던 AMPK가 세포 구조의 유지와 염색체 개수의 보존에 반드시 필요함을 증명하였다.
네이처(Nature 誌)는 연구성과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속보판으로 본 논문을 공개되었고, 연구의 주요 내용은 특허 출원되었다.
[연구배경]
AMPK(AMP-activated Kinase)는 세포의 에너지가 부족하면 활성이 증가하여 대사 관련 효소들을 조절한다. 따라서 그동안 AMPK는 당뇨병, 비만 등 여러 대사질환의 치료제 개발 표적 유전자로 큰 주목을 받아 왔다. 실례로 AMPK를 활성화하는 메트포르민(metformin)이라는 약은 강력한 혈당강하 작용이 있어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노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유명한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역시 AMPK 활성을 증가시킨다. 이번 연구에서는, AMPK 유전자가 완전히 상실된 모델동물을 처음으로 만들어 연구함으로써, 그동안 베일에 가려있던 AMPK의 새로운 생체 기능을 찾을 수 있었다.
[연구내용 : 정상적인 세포구조 형성에 필수적인 AMPK의 역할]
정종경 교수 연구팀은 초파리 모델동물과 인간 대장암 세포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AMPK가 항암단백질 LKB1의 신호를 받아 세포 골격을 이루는 액틴 미세섬유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이러한 AMPK의 기능은 정상적인 세포구조 유지와 염색체 개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한편, 연구팀이 대장암 세포에서 AMPK의 활성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면 암세포의 비정상적인 구조가 정상적으로 변화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AMPK의 활성 조절을 통해 일부 암의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가치 및 파급효과 : 암, 당뇨, 비만의 새로운 연구 방향 제시]
그 동안 AMPK는 당뇨병 및 비만과 관련하여 신약표적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어 왔으며, 실제 AMPK를 표적으로 하는 많은 약물이 국내외에서 개발 중이다. 이번 연구로 AMPK가 암 치료의 표적으로 새로이 증명됨에 따라 이미 개발되거나 현재 개발 중인 AMPK 활성화 약물들을 항암제로서 재평가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이러한 연구에 필수적인 AMPK 유전자가 완전히 결손된 모델동물을 처음으로 확보함으로써, 앞으로 AMPK와 관련된 질환인 암, 당뇨, 비만 등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연구가 수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