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암의 상피-간엽세포 전이와 어노이키스 회피 과정에서 당단백질의 관여

  • 등록일2011-12-01
  • 조회수8233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1-12-01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당단백질#상피세포#간엽세포#어노이키스#회피과정
  • 첨부파일

암의 상피-간엽세포 전이와 어노이키스 회피 과정에서 당단백질의 관여
(Glycosylation in the EMT and anoikis escape) 

 


 강정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략사업본부 FHCRC 공동 연구센터)
 김용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략사업본부 FHCRC 공동 연구센터)
 고정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략사업본부 FHCRC 공동 연구센터)
 
 

1. 서론


생체의 자연적인 조절을 거부하고 악성화되어 비균형적으로 무한하게 자라는 세포가 암세포이다. 암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이래 많은 노력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20여년간 전이된 암에 대한 치료는 거의 답보된 상태이다. 즉 초기에 발견되면 외과 수술 등을 통해 완치가 가능하나 일단 전이가 일어나면 여러 장기에 걸쳐 피해가 심각해지고, 수술이나 다양한 화학요법을 동원해도 그 생존률을 올리는 데는 큰 기여를 하지 못해 왔다. 그렇다면 이 암의 전이과정은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일까?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초기 angiogenesis(혈관 신생)를 거쳐 최근에는 상피세포(epithelial cell)가 간엽세포(mesechymal cell) 로 바뀌고 혈관을 이동하여 특정 장기에 안착한 후 다시 상피세포로 전환되어 전이가 일어나는 EMT/MET 과정이라 불리는 현상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