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골다공증의 유전체 연관성 연구동향
- 등록일2012-04-06
- 조회수9169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2-04-06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골다공증#osteoporosis#Genomic association #유전체 연관성
- 첨부파일
골다공증의 유전체 연관성 연구동향
Genomic association studies of osteoporosis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 형질연구과
황주연
Ⅰ. 들어가는 말
사회적으로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기술 발달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급속히 이루어지면서 근골격계 대표적 질환인 골다공증이 노령인구에 대한 보건측면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골다공증이란 골의 미세구조의 질적인 변화로 인해 통합성과 강도가 약화되어, 결국 골 주요 부위인 척추 및 대퇴, 요골 등의 골절 위험도가 증가되는 질환으로, 해마다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환자의 발생률이 늘면서 연간 의료비도 비례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골다공증 기준을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를 바탕으로 한 골다공증 수치(T-score)에 의해 골다공증(-2.5 이하), 골감소증(-2.5와 -1 사이), 정상(-1 이상)으로 정의하고 있으며(Figure 1, 2), 골절위험(fracture risk)을 포함하여 점차 골다공증 극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p90 Ribosomal S6 kinase 2 (RSK2)와 암
-
다음글
- Conservation Genomics : amalgamation of conservation genetics and ecological and evolutionary genomics (ConGenOmics)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