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가 호흡기질환에 미치는 영향
- 등록일2012-04-20
- 조회수8492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2-04-20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메타뉴모바이러스#호흡기질환#호흡기감염증#hMPV
- 첨부파일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가 호흡기질환에 미치는 영향
Human metapneumovirus as the causal agent of human acute respiratory disease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센터 호흡기바이러스과
정향민
Ⅰ. 들어가는 말
호흡기감염증은 전 세계적으로 이환과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거의 모든 국가에서 5세 미만의 어린이에 대하여, 호흡기계 감염증은 두 번째 사망원인으로 꼽히고 있다[1]. 급성 호흡기질환의 임상적 특징은 쉽게 인지되는 반면, 그 질환에 대한 원인병원체는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지역사회 획득 폐렴의 경우, 50% 미만의 경우만이 실험실 진단에 의해 원인병원체가 확인되고 있다. 소아군에서 사람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hRSV),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human parainfluenza virus), 그리고 인플루엔자바이러스(influenza virus)는 모세기관지염과 같은 하기도감염증의 가장 잘 알려진 주요 원인이다. 그러나 소아 하기도감염증 환자의 1/3은 원인병원체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특히, 하기도감염증 대부분의 병인이 아직까지는 40%만이 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2].
2001년 van den Hoogen 등은 네덜란드에서 20년 동안 수집된 일반적인 호흡기질환을 나타내는 소아의 호흡기검체 중 총 28명의 소아 호흡기분비물로부터 새로운 바이러스를 최초로 검출하였다[3]. 이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특이 항체와 유전자 특이 primer를 사용한 PCR 기반의 방법으로 검사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알려진 호흡기바이러스와는 다른 것이었다[3]. 네덜란드 연구자들은 randomly primed PCR 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병원체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확보하였으며, 제한된 염기서열 정보에 기초하여, 이 바이러스는 Metapneumovirus 속에 속하는 avian pneumovirus와 가장 가깝게 연관이 되어 있어,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human metapneumovirus; hMPV)로 명명하였다. 그러나 추가 연구를 통하여 hMPV가 새로운 바이러스가 아니라 이전부터 존재하던 일반적인 사람의 호흡기 병원체라는 증거를 확보하였다. 2000년 겨울에 수집된 68건 호흡기검체 중 7건(10%)이 RT-PCR 결과 hMPV에 양성이었다. 후향적인 혈청학적 연구에 의해 1950년대 초기부터 사람들에서 hMPV에 대한 항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3].
이 글에서는 hMPV의 특성과 사람의 호흡기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