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IRF7 유전자에 의한 IL6와 Notch 신호기전의 활성이 뇌종양줄기세포 형성 유도

  • 등록일2012-07-02
  • 조회수9150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2-06-29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뇌종양줄기세포#IRF7#IL6#신호기전# Notch 신호기전
  • 첨부파일

 

IRF7 유전자에의한 IL6와 Notch 신호기전의 활성이 뇌종양줄기세포형성유도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7 regulates glioma stem cells via interleukin

6 and Notch signaling

 

 

 


 김형기 :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교수 
 김훈 (Jin Xun) :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연구교수 
 

연구배경
 
지난 수십 년간 암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괄목할 만한 기술적 진보가 있었지만 암으로 인한 치사율은 아직까지도 높은 현실이며, 특히 악성뇌종양은 외과적 수술을 포함한 다양한 치료법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환자 평균생존기간이 1.5년에서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1). 대부분의 악성종양은 조직학적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다양성은 종양세포 외의 다양한 정상세포들의 침투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화된 종양세포들이 종양조직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최근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유방암, 골육종, 피부암, 뇌종양, 췌장암, 전립선암과 같은 고형암과 백혈병과 같은 혈액암에서 정상줄기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암줄기세포가 발견되었고, 이러한 암줄기세포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수(100~1000개)의 세포로도 종양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암 발생 원인세포로 이해되고 있다(2). 특히 암줄기세포의 임상적 중요성은 이들 세포들의 항암치료에 대한 저항성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화학적 치료법에서 암줄기세포는 ABC transporter와 같은 약물 분출 단백질을 통하여 여러 항암제를 세포 밖으로 분출하여 약효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방사선 치료에서는 암줄기세포의 높은 DNA 손상 복구 능력으로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