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암과 종양미세환경에서 치료타깃으로써의 STAT3
- 등록일2012-11-29
- 조회수893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2-11-28
-
출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STAT3 단백질#종양미세환경#암#치료타깃
- 첨부파일
암과 종양미세환경에서 치료타깃으로써의 STAT3
예상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암 줄기세포 및 암 미세환경 연구실
STAT3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STATs (Signal Transducer and Tranions)는 STAT1, STAT2, STAT3, STAT4, STAT5A, STAT5B, STAT6의 일곱개의 subunit 형태를 가지는 전사인자이다. STATs은 N-터미널 도메인 (ND), 코일드-코일 도메인 (CCD), DNA-바인딩 도메인 (DBD), 링커 도메인(LD), Src 호몰로지2(SH2), 그리고 전사활성 도메인 (TAD)이 포함된 여섯가지 별개의 구조적 도메인을 공유하며, 그 중에 STAT3는 활성화에 의해 인산화되는 C-말단에 critical tyrosine과 serine 잔기(Tyrosine 705, Serine 727 residues for STAT3)를 가지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혈액의 재구성: Blood Reconstitution by ES and iPS Cell-derived Hematopoietic Cells
-
다음글
- 생물테러가능 병원체로서의 야토균 백신 연구현황
관련정보
동향
발간물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6화 “암 오가노이드 연계 면역세포 치료기술” 편 2019-07-29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5화 “광의학 치료기술” 편 2019-07-09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2화 “조직별 면역세포의 세포체 지도” 편 2019-05-16
- 정책/기획보고서 효율적 암 연구개발을 위한 국립암센터기관고유연구사업 성과분석 및 평가 2013-02-22
- 정책/기획보고서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방안 도출을 위한 기획연구 2013-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