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의 분석

  • 등록일2013-01-07
  • 조회수8570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3-01-04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마이크로어레이#기능 유전체학#유전자 발현#전사체 발현
  • 첨부파일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의 분석
Analysis of microarray data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 바이오과학정보과
조성범


Ⅰ. 들어가는 말

 

  마이크로어레이는 기능 유전체학 연구에 있어서 혁명적인 발상의 전환을 가져온 기술이다. 기존의 방법이 개별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는 반면,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은 한 번의 실험으로 수천에서 수만 개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할 수 있다. Shena 등은 1995년에 실험실에서 직접 제작한 마이크로어레이 기판을 이용하여 세포에서 발현하는 전사체(tranome)의 발현을 측정하였다[1]. 이러한 유전자 발현 마이크로어레이(gene expression microarray)의 등장으로 한 세포에서 대용량의 유전체정보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고효율실험기법(high-throughput technology)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복제수변이( number variation, CNV), 염색질 면역침강법(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등에 대한 정보를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으로 발굴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