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임신 중 대사기능이상에 미치는 원인 인자 발굴연구

  • 등록일2013-03-18
  • 조회수5037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3-03-15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불임#대사기능이상#난임# 불임 치료
  • 첨부파일
임신 중 대사기능이상에 미치는 원인 인자 발굴연구
Identification study of causing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dysfunction during pregnancy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생명의과학센터 대사영양질환과
김지연, 이대연, 김원호

I. 들어가는 말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들어 가임기 여성들의 불임 또는 난임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11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불임의 증가율이 2006년에 비해 2010년에 24.45%가 증가하였으며, 불임치료에 드는 의료비용도 42.2%가 증가했다(Figure 1). 불임의 원인으로는 여성의 불임원인이 남성에 비해 4.3배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여성 불임의 주요 원인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최근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많아지면서 고령임신이 증가하고 직장생활에서의 스트레스, 미적 관심증가로 인한 과도한 체중조절, 비만, 음주, 흡연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1]. 그 중 고령임신을 가장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는데 2010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불임여성의 평균연령이 2007년 35.2세에서 2010년에는 36.2세로 증가하였다. 나이별 임신율도 20-24세 산모의 경우 86%, 25-29세 78%, 30-34세 63%이르고 35-39세 사이에는 52%로 산모의 연령이 증가하면 임신율도 급격히 감소함을 보였다. 즉, 35세 이상의 경우 두 명 중 한 명은 불임시술이나 진단검사 등 의료비 부담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