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신약개발을 위한 또 하나의 전략, Drug Repositioning

  • 등록일2013-07-03
  • 조회수10247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3-07-01
  • 출처
    (재)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약개발#Drug Repositioning#약물스크리닝#약물최적화#신약재창출
  • 첨부파일
신약개발을 위한 또 하나의 전략, Drug Repositioning
 

한국화학연구원 최상운
 
1. Drug Repositioning의 정의 및 필요성
 
통상적으로 신약개발 과정은 질병에 대한 작용점 선정, 약물 스크리닝, 약물 최적화 등의 신약 연구 단계와 전임상, 임상 1, 2, 3 상 시험 및 FDA 심사, 등록 등 개발 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일반적으로 10 ~ 15년의 오랜 기간과 평균 10억 달러 이상의 자금이 소요되는 과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생물학, 약학, 독성학 및 의학 등 신약개발 관련 학문 분야의 급격한 발전으로, 약물에 대한 작용기전의 이해와 이를 통한 다양한 약물 작용 및 독성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의 발달이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높여 줄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는 달리, 최근의 의학 관련 기술의 발달이 보다 높은 수준의 약물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의 요구로 이어져서, 아직까지는 개발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앞으로 꾸준한 기술의 발달과 보다 많은 정보의 축적이 궁극적으로는 신약개발의 효율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이러한 과도기적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기존 약물의 가치를 높이는 방법으로써 최근 drug repositioning(신약재창출) 기술이 관심을 받고 있다 (그림 1).1-3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