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간’ 에서의 혈당 조절 메커니즘

  • 등록일2013-07-26
  • 조회수5105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간’ 에서의 혈당 조절 메커니즘
 
 
김학성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교수
최정민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박사후연구원
 
최근 의료 전문가들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1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고 2명은 잠재적 당뇨병 단계로 나타나 2050년에는 성인 절반 가량이 당뇨병을 앓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당뇨병은 노화와 고칼로리 위주의 식생활이 그 원인으로 여겨지는데, 최근들어 우리 사회의 노령인구와 서구화된 식생활의 증가로 미루어 볼 때, 이런 예측은 크게 틀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당뇨병당뇨병은 질환자체보다 합병증이 더욱위험하다. 당뇨병으로 인한 만성적인 고혈당은 말초 혈관을 포함한 뇌, 심혈관 손상을 일으키고 이것이 고혈압과 동반되면, 신부전, 단백뇨, 동맥경화, 뇌, 심근경색을 초래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