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재생의학에서의 3D 프린팅 기술 전망
- 등록일2013-08-06
- 조회수8335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3-07-26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재생의학#3D 프린팅 기술 #3D 프린팅#3D 프린터
- 첨부파일
재생의학에서의 3D 프린팅 기술 전망
'3D 프린팅 기술'은 2013년 5월 2일 서울디지털포럼(SDF)에서 생산-제조시장의 변화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산업혁명 영역'으로 소개되었다. 또한 같은 해 5월 10일 미국 Defend Distributed Group은 3D 프린터로 권총을 제작하여, 제작에 필요한 제작도면을 인터넷으로 공개했다.
이처럼 3D 프린터 소스, 제작도면 등이 공개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형성되고 있는 추세로, 이는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를 교체하여 고유 기능을 회복시키려는 의학 분야인 '재생의학'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생의학에서의 3D 프린팅 기술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해내고 있다.
[시사점 1] 발효공학 등과 융합하여, 무균상태에서 사용하는 3D 프린터를 개발한다면 한국은
충분히 경쟁력이 있음
[시사점 2] printed part 관련 3D 프린팅 기술·생산으로 기형지원
[시사점 3] 3차원 영상, CAD 및 프린터 시스템을 운영할 엔지니어 확보·훈련 필요
[시사점 2] printed part 관련 3D 프린팅 기술·생산으로 기형지원
[시사점 3] 3차원 영상, CAD 및 프린터 시스템을 운영할 엔지니어 확보·훈련 필요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Emerging non-standard model systems: Lophotrochozoa
-
다음글
- 항원의 점막전달과 항원 특이적인 점막면역의 효능을 높이는 고분자 나노마이셀
관련정보
지식
동향
- 기술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11] 의료분야 3D 프린팅 기술 동향 2024-06-10
- 제도동향 [Regulatory On-Air (2023-12월호)] ’23년 9월, FDA Form 3988 및 3989을 통한 시판 후 PMR/PMC 이행 현황 및 보고 지침 발표 2023-12-20
- 제도동향 [첨단바이오포커스 제35호] 유럽 EMA, 유전자치료제 비임상 체내분포 고려사항 관련 ICH 가이드라인 S12 – Step 5 발표 2023-11-27
- 기술동향 재생의학분야에서의 세포 치료제 활용 2022-06-09
- 기술동향 ISSCR 2021 학회 참가기 2021-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