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백혈구 제거혈액제제 유용성 연구에 대한 고찰

  • 등록일2013-09-24
  • 조회수5969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3-09-17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백혈구 제거혈액제제#백혈구#혈액제제#유용성연구#백형구제거 혈액
  • 첨부파일
백혈구 제거혈액제제 유용성 연구에 대한 고찰
The study of usefulness of leukoreduced blood components:
A literature review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혈액안전감시과
오진아, 나경인, 김이경, 최영실


 I. 들어가는 말

  혈액은 크게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및 혈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백혈구는 인체의 방어체계에서 매우 중요한 면역세포로 세균 및 진균 등의 감염 예방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그래서 호중구감소증과 같이 백혈구가 비정상적으로 감소하는 질환에 이환되면 심각한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염증 치료를 위해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함에도 불구하고 호전되지 않은 일부 환자들에게는 타인의 백혈구를 채혈하여 수혈하기도 한다[1]. 이처럼 성분채집백혈구가 환자 치료에 일부 사용되고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혈액제제 내에 존재하는 백혈구는 생존기간이 매우 짧아 감염증 치료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비용혈성발열성수혈부작용 (Non-hemolytic Febrile Transfusion Reactions), 혈소판불응증(Platelet Refractoriness) 및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Cytomegalovirus Infection)과 같은 수혈부작용을 발생시키는 주원인이 되므로 제거해야 한다. 이에 따라 백혈구를 제거한 혈액제제 이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유용성이 입증됨에 따라 현재 영국 및 프랑스 등 많은 국가들은 모든 헌혈혈액에 대해 저장 전 백혈구를 제거하는 정책(Universal Leukocyte Reduction ; ULR)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모든 혈액제제에서 백혈구를 제거하고 않고 일부 적응증 환자에게만 백혈구제거혈액제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백혈구제거혈액제제의 공급량 및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2].
  이 글에서는 국내·외 백혈구제거혈액제제의 유용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향후 국내 백혈구제거혈액제제 전면도입 검토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