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세계 최초 참김 미토콘드리아 게놈 해독

  • 등록일2013-11-04
  • 조회수7423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3-11-01
  • 출처
    국립수산과학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미토콘드리아 게놈#참김 미토콘드리아#게놈 해독#유전체 해독
  • 첨부파일
 
세계 최초 참김 미토콘드리아 게놈 해독
  
■ 순수 우리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참김의 미토콘드리아 게놈(유전체)을 해독했다.
 
■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정영훈) 수산식물품종관리센터(목포시 소재)는 ‘참김(Pyropia tenera)’의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세계 최초로 해독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 미토콘드리아 DNA는 세포의 핵이 아닌 세포질에 존재하며, 미량의 시료에서도 추출이 가능함
 
○ 참김의 미토콘드리아 게놈은 42.3 kb로서 지금까지 알려진 김속 식물 중에서 가장 크며, 다수의 유전변이를 포함한 특이적인 유전자 구조와 조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게놈(유전체) : 한 생물종의 유전자의 총합
 
■ 이 연구는 부산대학교 해양연구소 이상래 박사팀과 공동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국제유전자은행(NCBI)에 등록됐고, 생명공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Plant Biotechnology Reports, SCI급) 제 7권에 게재됐다.
 
■ 김은 품종별로 형태가 유사해 구분하기 어려워 토종 참김의 보존 및 우수품종 개발을 위해 유전정보를 활용한 품종확인 분자마커 개발이 절실하다.
 
■ 이에 수산식물품종관리센터는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거나 품종보호권과 관련된 분쟁이 발생할 때 정확한 품종 판별을 위한 기술 개발 연구를 추진해 왔다.
 
○ 이번 참김의 미토콘드리아 게놈이 해독됨에 따라 밝혀진 유전자 정보를 이용해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김의 품종 확인, 원산지 추적 등 품질관리 기술 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2012년 우리나라의 김 수출액은 2억 3천만 달러를 넘어서는 등 현재 전 세계적으로 김의 산업적 가치와 산업 규모가 급격하게 커지고 있으며, 김을 여러 가지 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유전적 정보를 선점하기 위한 국제적인 경쟁이 치열하다.
 
■ 수산식물품종관리센터 황미숙 박사는 “김속 식물의 유전자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신품종 개발에 활용하는 등 김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CwtqFGUkSvuNWtGyrfNB.jpg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