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프리온 질병 치료 연구 현황 및 국내 프리온 저해 연구

  • 등록일2013-11-25
  • 조회수8678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3-11-22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프리온 #프리온 질병#프리온저해#prion disease #야콥병
  • 첨부파일
프리온 질병 치료 연구 현황 및 국내 프리온 저해 연구
The current status of chemotherapy for prion disease and discovery of
anti-prion compound in Korea.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면역병리센터 인수공통감염과
김지경, 김수연, 현재욱 
Ⅰ. 들어가는 말

  프리온 질병은 생체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단백질(PrPC)인 프리온이 구조적으로 변형되어 변형프리온(PrPres)1)을 발생시켜 사람이나 동물의 뇌 내에 축적됨으로써 발병한다. 최근 프리온 질환의 일종인 변종 크로이츠펠트 야콥병(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vCJD)이 광우병으로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소의 해면성 뇌병증(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BSE)에 감염된 소고기를 섭취함으로 인해 발병함이 알려지면서 이 질환이 중요한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사람의 경우 쿠루(Kuru), 크로이츠펠트 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CJD), 게르스트만-스트로이슬러-샤인케르 증후군(Gerstmann-Str?ussler- Scheinker disease, GSS), 치명적 가족성 불면증(fatal familial insomnia, FFI)이 대표적 프리온 질환이며, 동물에서는 양과 염소에서 발생되는 스크래피(scrapie), 소의 해면성 뇌병증, 밍크의 전염성 밍크 뇌병증(transmissible mink encephalopathy, TME), 그 외에 최근 캐나다의 사스캐치원이나 미국의 와이오밍을 중심으로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사슴의 만성소모성 질병(Chronic wasting disease, CWD) 등 동물 종에 따라 다양한 병명으로 불리어지고 있다(Table 1)[1].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