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바이오센서 신기술 소개

  • 등록일2014-04-01
  • 조회수8829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4-03-26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센서#생체 수용체#신호 변환기#체외진단
  • 첨부파일
목적
* 바이오센서란 분석 물질을 생체 수용체(Bio-Receptor)와 반응시켜 신호 변환기(Signal Transducer)로 측정하여 분석 물질의 존재 유무(정성)나 양(정량)을 측정하는 장치나 소자임
 
* 바이오센서는 극미량의 분석 물질을 고감도로 정확하게 검출하거나, 대용량의 시료를 자동으로 연속 검출하고, 시료 전처리와 결과 해석을 단순화하는 등 현장검사 또는 신속 진단 검사 추세로, 수요에 따라 제품이 다양화되고 있음
 
주요현황
최근 생체 고분자 직접 검출 등의 새로운 원리, 감염질환에서 만성질환까지 적용 질환 확대, 생물정보DB를 활용한 광대역 진단, 체액이나 생체 유래 가스 등 다양한 검체 형태 적용, 초민감 마커 진단을 통한 조기 치료 구현 등이 새로운 트렌드로서, 다양한 체외 진단용 바이오센서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음
대표적인 예로 MALDI 미생물 동정 바이오센서, RFMP 유전자형 바이오센서, FABP 급성 심근경색 바이오센서, 캔틸레버(Cantilever) 바이오센서, 요소 호기 검출 바이오센서가 있음

시사점 및 정책 제안
21세기 바이오센서 기술 분야에서는 질환의 조기 진단, 예방, 예후 예측, 진단-치료의 융합 등 개인별 맞춤의료가 핵심 키워드이며, 바이오센서의 체외진단 분야는 맞춤의료시대에 필수불가결한 도구로써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됨
정부는 차세대 성장 산업인 헬스 케어 산업을 주도할 바이오센서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관련 산업의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산학연 기술역량을 보유한 기관 간의 협업을 적극 중개하며, 사업모델의 조기 정착을 위한 법적ㆍ제도적 지원을 가속화하기를 제언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