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광합성 모방 이산화탄소 전환 및 화학소재 생산 연구동향
- 등록일2014-05-23
- 조회수5770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14-05-07
-
출처
지능형 바이오시스템 설계 및 합성연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화학 #광합성 모방#화학소재#이산화탄소 전환
- 첨부파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화학연구센터 성봉현 박사
1. 개요
비록 논란은 있지만, 산업혁명 이후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는 275 에서 400ppm으로
높아졌고, 그와 비례해서 지구의 온도도 올라갔다. 이러한 지구 온난화에 따라 대규모 홍수와 가뭄, 한파, 이상 고온 현상 같은 기후 변화가 훨씬
더 심각해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2005년 전세계는 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감축하는 교토의정서를 채택했다. 자국 산업보호 및 국가적 형평성
문제로 미국, 일본, 캐나다 등이 탈퇴하긴 했지만, 유럽 및 호주에서는 탄소시장이 개설, 운영되고 있다. 불경기로 인하여 전년 대비 38%가
감소했지만 전세계 탄소배출권 시장의 94%를 차지하는 EU의 탄소배출권 시장의 규모는 2013년 384억유로(57조원)에 달하며, 중국과
우리나라는 2015년 배출권 거래를 시작한다(1). 정치 및 경제적 이슈에 민감하고, 2020년에 새로운 국가 간 조약이 설정되기 때문에,
탄소시장의 미래는 불확실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년간 약 6억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세계 7위권 국가이며, 산업의 구조적 특성 때문에 다른
나라에 비해 1인당 탄소배출량이 많아, 이산화탄소를 줄이고자 하는 전세계적인 노력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즉 앞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이산화탄소 자체가 돈이 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은 분명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