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당뇨병성 신증 연구를 위한 동물모델
- 등록일2014-06-20
- 조회수6552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4-06-19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당뇨병#동물모델#당뇨병성 신증연구#말기신부전증
- 첨부파일
Animal Models of Diabetic Nephropathy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생명의과학센터 대사영양질환과
이대연, 김지연, 이유정, 김원호
이대연, 김지연, 이유정, 김원호
I. 들어가는 말
당뇨병은 말기신부전증의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2011년을 기준으로 미국의 전체 말기신부전증 환자 중 당뇨병으로 기인된 비율이 50%를 넘었고, 우리나라도 47.1%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비율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1,2]. 하지만 이러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제1형과 제2형 당뇨병 환자 전체 중 20-40%에서만 당뇨병성 신증이 발병하는 것으로 보아 이 질환의 발생과 진행에 유전적인 혹은 환경적인 요인이 분명히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발생 원인인자 또는 예측인자와 이들의 조절기전을 규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까지 당뇨병성 신증의 발생과 진행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이해의 폭이 넓혀져 온 것은 사실이나 아직도 뚜렷한 원인 인자와 예측인자 및 조절기전을 규명하는데 있어 그 성과에 한계가 있어왔다. 그 이유 중의 하나가 바로 사람에게 발생하는 당뇨병성 신증을 동일하게 재현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동물모델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2001년 미국 NIH에서는 당뇨병 합병증 동물모델 컨소시움(Animal Model of Diabetic Complications Consortium, AMDCC)을 구성하여 당뇨병 합병증 동물모델을 개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하여 사람에게 발생하는 당뇨병성 신증의 특성과 보다 유사한 동물모델이 개발되고 있으며 향후 이러한 동물모델은 당뇨병성 신장질환의 원인과 예측인자 규명을 통한 예방과 치료법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글에서는 현재 당뇨병성 신증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거나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동물들에 대한 연구동향과 각 동물모델 별 장점과 단점을 비롯한 특징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