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유사입자(virus-like particle): 감염성 질환을 막기 위한 차세대 백신 제형

  • 등록일2014-07-02
  • 조회수7349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4-07-02
  •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사입자#감염성질환#차세대 백신#백신 제형
  • 첨부파일
  
유사입자(virus-like particle): 감염성 질환을 막기 위한 차세대 백신 제형 
 
박재근, 노진용, 송창선,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전염병학 연구실
 
 
1. 서론
 
인류의 삶은 다양한 전염병에 의해 끊임없이 위협받아 왔다. 특히 역사적으로 천연두, 흑사병, 콜레라, 스페인독감 등은 발생 시마다 수백 - 수천만의 인명피해를 낼 만큼 치명적인 질병으로 기록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인체 감염 시 30%가 넘는 치사율을 보여 최악의 전염병의 하나로 꼽히는 천연두의 경우 기원전 13세기의 기록에도 그 유행이 기록되어 있으며, 실제로 기원전 1157년 젊은 나이에 죽은 것으로 알려진 이집트 람세스 5세의 미라도 천연두의 흔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스페인 식민지시대에 유럽 대륙으로부터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된 천연두에 의해 잉카문명이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는 것 역시 유명한 이야기이다. 인류뿐만 아니라 동물들도 다양한 전염병으로 인하여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닭 등의 가금류에서 100% 에 이르는 치사율을 보이는 무서운 질병으로 해당 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으며 국내 역시도 반복되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발생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인간 및 다른 동물들의 전염병에 대항하기 위하여 인류는 질병의 전파를 차단하는 방역, 전염병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 등의 사용과 더불어 전염병의 원인체에 의한 감염을 막기 위하여 백신접종 등을 사용하여 왔다. 이들 중 백신접종의 경우 병원체에 노출되기 전 미리 면역력을 형성시킴으로써 특정 병원체에 의한 감염을 방지하거나, 감염이 되더라도 임상증상의 발현을 최소화하고 감염을 일으킨 병원체를 신속하게 몸에서 제거함으로써 전염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